
국립민속박물관은 호랑이의 다양한 모습과 문화적 의미를 정리한 ‘한국민속상징사전: 호랑이 편’을 발간했다.
우리 문화 속에 다채롭게 깃들어 있는 호랑이 상징을 조명한 첫 해설서다.
책은 고대 단군신화부터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마스코트였던 ‘수호랑’에 이르기까지 호랑이와 관련된 내용을 수록했다.
콜레라 고통을 상징적으로 비유한 ‘호랑이가 살점을 찢어내는 것처럼 고통스럽다’는 의미의 ‘호열자’(虎列刺), 몹시 사납고 무서운 사람을 비유하는 ‘호랑이 선생님’ 등 관련 용어도 정리했다.
또한 호랑이에게 잡아먹히고 남은 유구(遺軀)를 거두어 장례를 치르는 호식장(虎食葬), 호랑이에게 희생된 영혼을 달래는 황해도의 굿거리 ‘살량굿’ 등 민속에 나타난 내용도 학술적으로 조명했다.
책 속 내용은 크게 호랑이의 생태와 역사, 신성과 벽사의 호랑이, 호랑이가 깃든 물건, 설화 속 호랑이, 용어와 표상으로 나뉜다. 아울러 부록으로 호랑이 관련 속담과 설화 목록, 뉴스에 나온 호랑이, 노래와 영화·드라마 제목 속의 호랑이를 다룬다. 호랑이를 소재로 하는 그림, 조각, 자기 등 호랑이 상징 유물 관련 도판과 소장처도 알려준다.
홍영진기자 thinpizz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