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학으로 읽는 울산에는 김옥곤 소설가의 단편소설 ‘성자의 도서관’이 실렸다.
시에는 강세화, 강현숙, 권기만, 권영해, 김려원, 김성춘, 김익경, 박마리, 박정옥, 박종해, 이강하, 이상열, 이원복, 임윤, 장상관, 장선희, 정창준, 황지형 시인이 참여했다.
수필에는 배혜숙, 송은숙, 윤경화, 이서원, 이종화 작가가 참여하고, 동화에는 엄성미, 최봄 작가가 참여했다.
평설에는 문영 시인이 ‘울산아가씨 노래는 어떻게 남북한의 노래가 되었는가’를 실었다.
문영 시인은 권두사에서 “지역의 정체성(로컬리티)과 더불어 문학의 본질 중 하나인 시간예술이라는 자각을 바탕으로 새롭게 창조된 것이었으면 한다. 전통과 고전을 중시하는 ‘법고’와 새로움과 창조에 무게를 둔 ‘창신’이 조화를 이룬 글쓰기는 문학뿐만 아니라 문화예술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는 화두”라고 말했다. 홍영진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