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패스트트랙 법안’ 강경투쟁…당내 회의론도
상태바
자유한국당 ‘패스트트랙 법안’ 강경투쟁…당내 회의론도
  • 추성태 기자
  • 승인 2019.12.12 21: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회서 릴레이 숙식 농성

‘나를 밟고 가라’ 현수막도

與 협상 진정성에 의구심

당내 일각, 전략 패착 지적

“영리한 투쟁해야” 비판도
▲ 12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에서 무기한 농성 이틀째를 맞은 자유한국당 황교안(오른쪽) 대표가 김성태 의원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이 12일 이틀째 국회 로텐더홀에서 패스트트랙 법안 저지 농성을 이어갔다. 황교안 대표를 비롯한 한국당 의원들 역시 10명 안팎으로 1개 조를 이뤄 황 대표와 함께 로텐더홀에서 릴레이 숙식 농성을 하고 있다.

한국당은 로텐더홀 바닥에 붉은색 글씨로 ‘나를 밟고 가라’는 문구를 새긴 대형 현수막도 깔았다. 최고위원회의와 의원총회 등에서는 ‘목숨을 건 투쟁’ 등 극단적인 구호도 쏟아졌다.

당장 한국당 ‘투톱’의 강경 발언이 이어졌다.

황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패스트트랙에 오른 선거법 개정안 및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법안의 일방 처리를 ‘의회 쿠데타’로 규정하며 “비상한 각오로 막아내기 위한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황 대표는 또 패스트트랙 법안 관련 세미나에 참석해 “선거법과 공수처법은 좌파독재를 완성하려는 불법 법안”이라며 “‘4+1’이라는 엉터리 불법 조직을 통해 날치기 처리를 시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심재철 원내대표는 공수처법에 대해선 “친문(친문재인) 수사를 맡기는 꼴”이라고, 선거법 개정안에 대해서는 “여당 독식의 1당 국회가 되는 것”이라고 각각 비판했다.

이같이 한국당이 강경 투쟁으로 방향을 잡은 것은 더불어민주당의 ‘협상 진정성’에 대한 의구심 때문이다. 나아가 한국당을 뺀 여야 ‘4+1’(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이 예산안처럼 패스트트랙 법안을 밀어붙인다면 이를 막을 수 없다는 현실적인 판단도 깔렸다.

당 일각에서는 패스트트랙 전략 전반에 대한 회의론도 나온다. 지난 4월 막 오른 패스트트랙 정국에서 첫 단추부터 잘못 끼웠다는 것이다.

한국당의 한 의원은 “지금은 의원직 총사퇴를 외칠 시기도 놓쳤다. 지난 4월 패스트트랙 법안 지정 시 모두 내려놨어야 했다”며 “아니면 심재철 신임 원내지도부가 들어섰을 때 여당에 일 대 일 담판을 요구했어야 했다”고 밝혔다.

패스트트랙 정국에서의 극한 대치가 총선을 위한 중도 표심 확장에 도움이 안 된다는 말도 나온다. 이는 연일 패스트트랙 법안 반대 여론전이 설득력을 잃었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오히려 패스트트랙 대전에 얽매인 사이 청와대 감찰 무마 및 하명 수사 의혹, 우리들병원 금융 농단 의혹 등 정권을 겨냥한 대형 이슈가 묻혀버렸다는 불만도 적지 않다.

한 의원은 통화에서 “투쟁을 위한 투쟁이 아닌 정권을 무너뜨리는 영리한 투쟁을 해야 한다”며 “중도 확장에서 열세인데 ‘제1야당을 왕따시켰으니 밟고 가라’고 한들 아무도 우리를 불쌍하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만 한국당은 이들 의혹을 여전히 패스트트랙 법안을 저지하는 명분으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심 원내대표는 “문재인 대통령과 가까운 정권 실세들이 부정 선거를 자행하고 국가 권력을 흔들었다는 국정농단 의혹이 실제인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며 “현 정권과 민주당이 공수처 도입을 위해 수단과 방법 가리지 않는 정치적 야합할 수밖에 없었다는 확증을 갖게 한다”고 말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