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선 경쟁자였던 홍준표 의원의 선대본부 상임고문직 수락을 얻어낸 윤 후보로서는 경선 패배 이후로 잠행 모드인 유승민 전 의원의 공개 지지를 끌어내는 게 ‘마지막 퍼즐’로 꼽힌다.
윤 후보는 설 연휴 중 유 전 의원에게 직접 전화했으나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선대본부 관계자는 3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윤 후보가 다양한 루트를 통해 유 전 의원과 접촉을 시도해왔다”며 “진정성 있는 노력이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윤 후보는 애초 구상대로 친문을 뺀 모든 세력을 규합하는 ‘반문 빅텐트’가 여의치 않은 상황에서 일단 국민의당 안철수 대선후보와의 단일화보다는 원팀 완성에 방점을 찍고 있다.
최악의 경우 3자 구도로 가더라도, 보수 지지층을 바닥까지 긁어모으면 승산이 있다는 이른바 ‘자강론’을 염두에 둔 움직임으로 보인다.
유 전 의원은 국민의힘 지지세가 약한 중도층과 3040 세대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가진 정치인이라는 점에서 윤 후보의 취약점을 보완해줄 것이라는 게 윤 후보측 기대다.
특히 경제·안보 분야에 전문성을 가진 유 전 의원이 정치 신인으로 정책 역량을 입증할 기회를 충분히 얻지 못한 윤 후보와 당장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것이다. 김두수기자·일부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