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정부 출범 후 4년간 상위 10% 소득자의 연평균 소득은 1500만원 가까이 늘어난 반면, 하위 10% 소득자의 연평균 소득은 겨우 17만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 위기 등의 영향으로 상하위 소득 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추경호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통합소득 1000분위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0년 통합소득 상위 10% 소득자 245만8194명의 소득은 총 336조1136억7600만원으로, 1인당 평균 1억3673만원이었다. 통합소득은 근로소득과 종합소득(이자·배당·사업·연금·기타소득)을 합친 개인소득 합산액이다. 통합소득 상위 10%의 1인당 연평균 소득은 2016년 1억2244만원, 2017년 1억2791만원, 2018년 1억3055만원, 2019년 1억3226만원, 2020년 1억3673만원으로 증가했다.
문재인 정부 출범 전인 2016년과 문 정부 4년차인 2020년을 비교하면 상위 10%의 1인당 연평균 소득은 1429만원 증가했다. 같은 기간 통합소득 하위 10%의 1인당 연평균 소득은 17만원 늘어났다.
2020년 통합소득 하위 10% 소득자 245만8194명의 소득은 4조8155억8700만원으로 평균 196만원이었다. 하위 10%의 연평균 소득은 2016년 178만원, 2017년 186만원, 2018년 200만원, 2019년 207만원으로 늘다가 2020년 196만원으로 감소했다.
상위 10%와 하위 10%의 소득 격차도 줄어드는 추세였으나 2020년에 다시 늘었다. 2016년에는 상위 10%의 1인당 연평균 소득이 하위 10%의 1인당 연평균 소득의 68.6배였다. 이 배율은 2017년 68.7배로 소폭 올랐다가 2018년 65.2배, 2019년 64.0배로 감소 추세를 보였지만 2020년 69.8배로 높아졌다.
추 의원은 “코로나 등의 영향으로 소득 격차가 심화한 것인데, 코로나가 계속된 2021년에는 격차가 더욱 커졌을 것”이라며 “피해가 집중된 서민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