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중구 혁신도시내 ‘신세계 백화점’약속 이행이 8년째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하지만 20대 대선 여야 후보선대위의 현안 해법 항목에선 제외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울산 혁신도시내 건립 예정이었던 신세계 백화점 부지는 (주)신세계에 값싸게 공급한 것으로 협약조건에 따라 반드시 이행해야하는 사업이다. 반면, 지자체가 부지를 공급한 적도 없는 광주지역에선 신세계가 추진 중인 복합몰 건설을 둘러싸고 대선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때문에 광주 신세계 복합몰 건설은 3·9 대선결과와 관계없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지지부진한 울산과 적극적인 광주의 차이는 무엇일까?
◇울산정치권 ‘대선현안’ 무관심= 울산 중구청과 신세계가 지난 2016년 체결한 업무협약은 백화점 건립이었다. 하지만 신세계가 약속을 이행하지 않다가 지난해엔 오피스텔 건립으로 전환한다고 밝혀 논란이 증폭됐다. 백화점은 사실상 무산위기에 직면했다. 더불어민주당 소속 송철호 시장은 물론 박태완 중구청장은 강력 반발했다. 정치권도 대응에 나섰다. 국민의힘 박성민 의원은 신세계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었다. 6·1 지방선거 시장 예비주자인 김두겸 전 남구청장은 기자회견에 이어 1인시위까지 하면서 신세계의 약속 이행을 촉구했다. 이에 신세계는 1440가구 49층 오피스텔을 건립방침에서 주춤하다가, 20대 대선이 한창인 지난 16일 허병훈 신임 부사장이 울산 중구청을 방문했다. 그는 현장을 둘러본뒤 5개 층 이상, 총면적 4만3000㎡ 이상 규모의 상업시설로 전환키로 했다고 밝혔다. 신세계측은 현재 진행중인 설계업체와의 사업계획안을 갖고 다시 울산을 찾아 협의할 것임을 밝혔다.(본보 2월17일자 2면)
하지만 신세계의 이러한 입장 변화에 대해 지역 행정계와 주민들은 완전히 신뢰하지 못하는 기류가 팽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역 정치권에선 신세계의 입장변화에 대해 강한 의구심을 나타내면서도 대선 현안 해법엔 포함시키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많다.
이와 관련, 신세계의 입장변화 등 일련의 과정을 꿰뚫고 있는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이날 “신세계가 지난해부터 입장변화를 여러차례 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선이 한창인 지난 16일 고위 임원이 울산 현지를 방문, 새로운 카드를 제시한 것은 ‘대선쟁점 피하기’라는 의구심도 없지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역 대형 사업이 지지부진 한 상황에서 정치권이 이번 대선 현안해법에 포함시켜야 하는데 매우 아쉽다”고 했다.
◇대선 쟁점화된 광주 신세계 복합몰= 광주 복합쇼핑몰 유치 공약은 국민의힘 윤석열 대선후보가 지난 16일 먼저 꺼내들면서 쟁점화 됐다. 광주 시민들이 원하는 쇼핑몰 유치가 민주당의 반대로 추진되지 못했다면서 국민의힘이 연일 민주당의 호남 홀대론을 부각하면서 몰아세우자, 민주당은 반대한 적이 없다면서 갈라치기 하지 말라고 반박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최근에도 ‘민주당의 호남 홀대론’ 주장을 이어갔다. 민주당이 텃밭인 호남에 오히려 무관심해 지역 발전이 뒤처지면서 그 흔한 복합 쇼핑몰 하나 없는 광역시가 됐다는 논리를 편 것이다.
이준석 대표는 “민주당 관계자가 방송에 출연해서 광주를 가난한 도시에 비유하면서 복합 쇼핑몰을 반대하다니요. 민주당은 이제 무슨 말을 하고 있는지도 모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민주당은 ‘민주당이 반대했다’는 것 자체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낙연 총괄선대위원장은 광주 유세에서 “쇼핑몰, 민주당이 반대했다고요”라고 반문한 뒤 “이용섭 광주시장이 ‘시민 의견 모아 잘 추진하고 있으니 민생 해결에나 앞장서달라. 광주 걱정은 광주에 맡겨달라’했다”고 했다. 20일 광주 정치권에 따르면 광주 신세계 복합몰은 대선결과에 관계없이 추진 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