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 양산캠퍼스 첨단산학단지 내에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천연물안전관리원 구축사업 일부 예산을 양산시가 떠안아 논란이 되고 있다.
천연물안전관리원은 사업비 291억원을 들여 3125㎡ 부지에 지하 1층, 지상 3층, 건축 연면적 5500㎡ 규모로 건립된다. 내년 1월 착공, 2024년 준공 예정이다.
이 사업의 핵심은 한약재 등 천연물 원료부터 제품화까지 전주기 안전관리를 지원하는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이다. 또 기업을 위한 공유시험실, 컨설팅, 인력양성 등의 천연물 종합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천연물안전관리원 구축사업은 당초 대통령 공약사업인 동남권 의생명특화단지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국책사업인 데도 예산 일부를 양산시가 떠안게 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시는 천연물안전관리원 건립을 위해 지난해 국비 3억원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 등과 함께 천연물안전관리원 건립을 위한 ‘종합로드맵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을 실시한 뒤 사업의 추진방향과 세부 추진계획 등을 수립했다.
이어 올해 실시설계용역비와 건축공사비 등 국비 13억원을 추가로 확보, 상반기 중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를 거쳐 설계용역을 완료한 뒤 내년 1월 착공을 목표로 사업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문제는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천연물안전관리원 구축사업의 예산 일부를 지자체가 부담하게 되면서 향후 동남권 의생명특화단지 후속 사업들 역시 이같은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는 데 있다. 사업 추진 과정에서 기획재정부가 운영비를 포함한 기반구축비 중 30%를 지방비로 부담하는 안을 반영할 것을 요청했기 때문이다. 결국 경남도와 양산시는 전체 사업비 291억원 중 18.9%인 55억원을 부담키로 결정했다.
부지면적도 당초 계획보다 줄었다. 부지를 무상제공키로 했던 부산대가 내부의 반발에 봉착, 계획했던 6500㎡에서 3125㎡로 줄였다.
김갑성기자 gskim@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