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 시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응과 지역 공공 의료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공공병원 설립이 매우 중요하다”며 울산의료원 설립 당위성을 강조하고 지원을 당부했다.
이어 “중앙과 지방이 국정 동반자로서 협력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서는 협의회 내에 ‘중앙지방협력위원회’ 설치가 필수적이다”고 강조했다.
이날 영상회의에서는 제1회 중앙-지방협력회의 후속조치을 비롯해 지방분권·균형발전 정책공약 반영, 공공임상교수제 도입 추진 등에 대한 심도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이날 총회에서는 중앙·지방협력회의 전담 위원회를 신설하는 구조개편을 단행했다.
지난 1월13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개최된 ‘제1회 중앙·지방협력회의’는 회의체 출범이라는 역사적인 의미와 함께 지방 중심의 운영이 돼야 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소기의 성과를 얻었다.
하지만 안건 선정·심의 및 회의 진행 등에서 중앙부처 중심의 운영이라는 한계를 드러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협의회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시도지사의 적극적인 관심과 보다 강력한 결속력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협의회 정관 개정안이 만장일치로 의결했다. 개정안은 ‘중앙·지방협력회의 대응 및 추진’을 협의회 핵심사업으로 명기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협의회 내 중앙·지방협력특별위원회 신설 등 중앙·지방협력회의의 효율적인 대응을 목적으로 기능과 역량을 총 결집하는 체계로 전환했다.
이밖에도 자치분권 개헌 추진상황, 초광역 협력사업 지원 추진방안, 자치경찰제 확립 제도개선 방안 등 자치분권과 균형발전의 핵심 과제를 선정해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관계 연구기관과 협업체계를 구축하기로 뜻을 모았다.
김두수·이춘봉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