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원회는 23일 창원컨벤션센터에서 유역 주민과 이해당사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계획안을 공개하고 의견 청취를 위해 낙동강유역 물관리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공청회를 열었다.
낙동강유역 물관리 종합계획은 낙동강유역의 물 수급과 홍수 관리 등 구체적인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는 대권역 단위 계획이다. 유역 내 이해관계자들이 지속 가능한 물 순환체계 구축을 위해 공동으로 수립·시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위원회는 계획 수립 과정에서 상류권인 대구시와 경북 구미시의 합의가 우선이라며, 이해당사자 중 하나인 울산시의 의견은 크게 신경쓰지 않는 분위기다.
이와 관련, 낙동강유역 물관리 종합계획 중 낙동강 상류 지역 취수원 다변화 문제는 울산의 희생에서 비롯된 만큼 울산을 후순위로 밀어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반구대암각화의 보존을 위해 사연댐 수위를 낮추는 대신 운문댐 용수 7만t을 울산에 공급하는 방안은 2009년 2025 국가수도정비기본계획에서 처음 거론됐다. 이후 같은 내용이 지난해 낙동강통합물관리방안과 낙동강유역 물관리 종합계획안에 잇따라 포함됐다.
다만 이 과정에서 7만t이라는 수량은 제외됐다. 이에 시는 환경부와 위원회에 7만t 이상 수량 공급을 명시할 것을 지속적으로 건의하고 있다. 그러나 환경부와 위원회는 대구와 구미의 합의가 우선이라는 입장을 지속적으로 표명하며 울산의 요구를 흘리고 있다. 구미 해평취수장에서 생산한 30만t의 용수 중 28만t을 대구에 공급하는 문제가 선결돼야 울산 물 문제를 챙길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환경부와 위원회가 사업 추진의 편의를 위해 유역 내 이해관계자가 공동 참여한다는 기본 취지를 무시하고 있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이런 와중에 대구와 구미의 합의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구미시의회가 대구 취수원을 해평취수장으로 이전하는 문제를 완강히 반대하고 있어 이전이 불투명하기 때문이다. 만약 대구와 구미의 합의가 불발될 경우 운문댐 용수의 울산 공급도 지연될 수밖에 없다.
한편 환경부는 이날 공청회에서 제기된 의견들을 수렴한 뒤 5월 중으로 낙동강유역 물관리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