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 팬데믹 속에서도 ‘정권재창출’을 내세운 여당 지지층과 ‘정권교체’로 정부심판론을 앞세운 보수야당 지지층의 결집이 강하게 작용하면서 역대급 투표율 상승을 이끈 것으로 분석된다.
울산지역 여야는 사전투표율 유불리 분석과 함께 막판 변수에 촉각을 곤두세우며 표밭갈이를 위해 총력전에 들어갔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지난 4일부터 이틀간 진행된 제20대 대통령선거 울산지역 사전투표에 총 선거인 94만2210명 가운데 33만2600명이 참여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최종 사전투표율은 35.3%다. 울산은 사전투표 첫날인 4일 15만3649명(16.31%), 5일 17만8951명(18.99%)이 투표에 참여했다. 지난 2017년 제19대 대선 당시 울산 사전투표율 (26.69%) 보다 8.61%p 높다. 전국 평균(36.93%)에 비해서는 1.63%p 정도 낮다.
울산 구군별로는 울주군이 36.63%로 가장 높았고, 중구(36.39%), 남구(35.00%), 동구(34.78%) 순을 보였다. 사전투표가 도입된 2014년 이후 선거에서 1~2위의 사전투표율을 기록하고 총 투표율에서도 1위 또는 2위에 올랐던 북구는 33.57%로 5개 구·군 중 가장 낮았다.
전국적으로는 사전투표에 총 선거인 4419만7692명 가운데 1632만3602명이 참여해 사전투표율 36.93%를 기록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전남(51.45%)의 투표율이 가장 높았고 전북(48.63%), 광주(48.27%), 세종(44.11%), 경북(41.02%) 등이 뒤를 이었다. 투표율이 가장 낮은 곳은 경기(33.65%)였고, 제주(33.78%), 대구(33.91%), 인천(34.09%), 부산(34.25%)도 35%를 밑돌았다. 서울은 37.23%를 기록했다.
하지만 코로나 확진자·격리자 투표가 대혼란을 겪으며 투표 마감이 4시간가량 지연되는 등 파행을 겪었다.
지난 5일 오후 5~6시에 코로나 확진자·격리자 사전투표가 일반인과 동선이 분리된 임시 기표소에서 진행됐다. 그러나 준비 부족과 복잡한 절차로 지연과 혼선이 빚어져 투표소 곳곳에서 대혼란이 일었다. 정치권에서도 여야를 가리지 않고 선관위의 준비 부족을 질타하는 등 파장이 이어지고 있다.
선관위는 6일 배포한 입장문에서 “전날 실시된 코로나 확진 선거인의 사전투표에 불편을 드려 매우 안타깝고 송구하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 위원회는 이번 사안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으며, 드러난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면밀히 검토해 선거일에는 국민이 안심하고 투표할 수 있도록 조속히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선관위는 그러나 “이번에 실시한 임시 기표소 투표 방법은 법과 규정에 따른 것”이라며 “모든 과정에 정당 추천 참관인의 참관을 보장해 절대 부정의 소지는 없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등 야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부정 선거 논란을 일축, 개표 결과에 따라 혹시 제기될 수 있는 불복 제기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한 차원으로 보인다. 김두수·이형중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