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의 유네스코 문화유산을 한 발 더 깊이 알 수 있는 역사강좌가 마련된다.
문화재청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는 ‘유네스코 지정 한반도의 문화유산’을 주제로 분기별(3·6·9·12월, 셋째 주 수요일) 1회 2강씩 총 8강의 시민 강좌를 운영한다.
시민강좌는 일반인들의 문화유산 이해를 도우려고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가 개설한 교육프로그램으로, 해마다 하나의 주제를 선정해 운영돼 왔다. 올해는 ‘유네스코 지정 한반도의 문화유산’ 주제로 강좌가 마련된다.
| 유네스코 지정 한반도의 문화유산 강의 일정 | ||
| 일정 | 주제 | 강의 |
| 3월16일 |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팔만대장경/훈민정음 |
| 6월15일 | 세계문화유산 | 석굴암/창덕궁 |
| 9월14일 | 세계자연유산 | 살아 숨쉬는 갯벌/아름다운 제주도 |
| 12월14일 | 북한문화유산 | 개성역사유적지구/평양·남포 고구려 고분군 |
첫 강좌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은 오는 16일 오후 1시 마련된다. △팔만대장경(임혜경·국립중앙박물관)과 △훈민정음(이하얀·국립한글박물관) 강의로 구성된다.
6월15일은 ‘세계문화유산’을 주제로 한다. 강의는 △석굴암(임영애·동국대) △창덕궁(홍순민·명지대) 순이다.
9월14일은 ‘세계자연유산’ 주제로 △살아 숨쉬는 갯벌(문경오·갯벌세계유산등재추진단)과 △아름다운 제주도(전용문, 전 제주세계자연유산센터)를 다룬다.
12월14일에는 ‘북한문화유산’ 차례다. △개성역사유적지구(안병우·덕성여자대)와 △평양·남포 고구려 고분군(강현숙·동국대)으로 구성된다.
현장 강의는 온라인 생중계된다. 국립문화재연구원 혹은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유튜브를 통해 전국 어디서나 강좌를 들을 수 있다. 홍영진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