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 민주당 원내대표는 오는 5월 출범하는 윤석열 정부를 상대할 ‘172석 거대 야당’의 첫 원내사령탑이란 점에서 그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20일 민주당에 따르면 원내대표 경선에 도전장을 던진 의원은 4선 안규백, 3선 김경협·박광온·박홍근·이원욱 의원(가나다순) 등 5명이다. 도전자들은 제각기 차별화된 입장을 나타내며 주도권 경쟁을 펼치고 있다.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을 분명히 구분하되 협상에서 일방적인 KO와 녹다운은 없다”(안규백), “협조할 사안은 당연히 하겠지만, 길이 아니거나 위험한 길로 가면 단호히 견제하고 막을 것”(김경협), “협조할 건 해도 민주주의 퇴행, 한반도 평화 악화, 사회 격차 및 차별 해소에 역행하면 단호히 맞설 것”(박광온), “새 정부의 지향점과 방향은 존중하지만 무리한 정부조직법 개정 등을 요구하면 꼼꼼하게 볼 것”(박홍근), “견제와 균형을 기조로 공통 공약 등을 들여다볼 것”(이원욱) 등이다.
현 시점의 판세는 박광온·박홍근 의원간 이른바 ‘양박’ 대결로 흐르는 분위기라는 게 당내 대체적인 분석이다.
이른바 대장동 특검과 여성가족부 폐지를 골자로 한 정부조직법 개편 등 핵심 쟁점에 있어선 국민의힘 측과 분명한 각을 세우고 있다.
특히 대장동 특검에 있어선 대선 당시 윤석열·이재명 후보를 둘러싼 의혹을 모두 수사 대상에 포함해야 하며 그 방식은 기존 상설특검을 활용해야 한다는 데 후보들이 입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별도의 일반특검을 도입하자는 입장이어서 이번 임시국회 기간에 여야가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윤 당선인의 핵심 공약 중 하나인 여가부 폐지에 대해서도 민주당 원내대표 후보군이 모두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하고 있어서 누가 되더라도 향후 정부조직법 처리 과정에서 진통이 예상된다. 윤 당선인이 공언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권한 축소 작업에 대해서도 반대 기류가 강하다.
대선 패배 후 당내 쇄신론과 관련해 개혁 입법 처리 요구 등에 대해선 후보 간 온도 차가 감지된다.
박홍근 의원은 “4월 국회에서 검찰·언론개혁, 정치개혁법을 우선으로 처리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광온 의원은 “중요한 것은 대선 과정에서 약속했던 국민 통합을 위한 정치혁신, 부동산 공급 및 세제 개편, 코로나 손실 보상 등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 다음으로 검찰 개혁 등이 있다”고 밝혔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