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월8일 2~3배수 압축
10일께 공관위원장 선출
인적쇄신 내달 중순 이후로
원내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이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법안 저지에 당력을 집중하면서 내년 4월15일 총선과 직결된 인적쇄신 및 보수통합 작업을 내년으로 미루는 한편 공천관리위원회 역시 내년 1월10일 전후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19일 당 총선기획단(단장 박맹우) 등에 따르면 그동안 국민 공모로 6100여건의 공관위원장 후보를 추천받은 데 이어 내년 1월8일께 2~3배수로 압축하고 1월10일께 공관위원장을 선출하는 수순을 밟고 있기 때문이다.
총선기획단이 일부 ‘공천 룰’을 정하긴 했으나 실질적인 ‘공천 칼자루’는 공관위원장이 쥐고 있다는 점에서 본격적인 인적쇄신 작업은 다음 달 중순 이후에나 가능할 전망이다.
당 관계자는 “인적쇄신이 자칫 총선을 앞두고 분란만 초래할 수 있다”고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
그러나 창당을 준비 중인 바른미래당 비당권파 ‘새로운보수당’(새보수당)과의 보수통합 등을 고려하면 인적쇄신의 시간표를 마냥 늦춰선 안 된다는 지적도 있다. 한국당이 단행하는 인적쇄신의 속도와 방향성에 따라 보수통합의 향배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한국당의 패스트트랙 법안 저지 집회가 ‘태극기 부대’로 상징되는 극우세력의 집회로 비치자, 새보수당 일각에서는 통합이든 연대든, 한국당과 손 잡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또한 한때 급물살을 타는 듯한 보수통합 논의도 패스트트랙 정국이 본격화하면서 물밑으로 가라앉았다. 한국당 스스로 ‘패스트트랙 법안 저지’에만 시선을 고정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이는 패스트트랙 정국이 끝남과 동시에 보수통합 논의가 수면 위로 부상할 것임을 의미한다.
당 핵심 관계자는 “당장은 패스트트랙 법안 저지에 집중해야 하므로 집토끼를 단속할 수밖에 없다. 선거법과 공수처법을 한국당이 온몸으로 막았다는 것을 국민들에게 각인시키기 위해 이달까지는 강경투쟁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관계자는 “새보수당과의 통합을 위한 물밑 조율은 거의 끝났고 양측의 신뢰가 쌓이고 있는 단계로, 패스트트랙 정국이 끝나면 통합은 급물살을 탈 것”이라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당 안팎에선 패스트트랙 국면에서 황 대표가 지나치게 ‘우향우’ 하는 것으로 비치는 데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한편 한국당 공관위원장 추천위원회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회의를 열고 공관위원장 후보를 2배수로 압축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조경태 추천위원장은 “공관위원장을 정하는 기준은 당의 쇄신과 개혁을 상징할 수 있고, 중도적 시각에서 보수통합을 끌어내는 한편 계파와 정치적 이해관계에 치우치지 않는 인물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공관위원장 후보군에는 박관용·김형오 전 국회의장, 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 김문수 전 경기지사, 박찬종 전 의원, 이헌재 전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인명진 전 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 등 현역 정치인과 재야인사들이 두루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