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철호 시장은 31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야음 시민 상생의 숲 및 수소타운 조성 계획을 밝혔다.
야음지구 민관협의회는 앞서 지난 3월23일 대규모 구릉지를 조성해 공해를 차단한 뒤 야음지구를 개발하라는 조건부 개발안과 개발 반대안을 권고했고, 시는 TF를 구성해 최적의 방안을 모색했다.
시는 야음지구 내 산지 등을 매입해 녹지를 조성하라는 개발 반대안의 경우 비용이 많이 드는 반면 조건부 개발안보다 공해 차단 효과가 낮다고 판단해 조건부 개발안을 가다듬었다.
시는 여천천~영락원 구간은 조건부 개발안대로 야음지구 내에 폭 200m 높이 35m의 구릉지를 조성한다. 영락원~여천오거리 방면 약 450m 구간은 산업로 위에 생태터널을 신설하고 터널 위에 녹지를 조성한다. 생태터널~여천오거리 구간은 산업로와 철로 사이에 위치한 시유지인 완충녹지를 활용해 구릉지를 조성하고 녹지화한다.
이럴 경우 여천천에서 여천오거리를 거쳐 신화마을까지를 연결하는 남북을 가로지르는 거대한 녹지벨트가 완성돼 공단 방면의 공해를 차단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시는 시민과 기업의 나무 기부를 마중물 삼아 전국에서 가장 아름답고 울창한 ‘시민동산 상생의 숲’으로 가꿔나간다는 계획이다. 시는 울산의 새로운 숲세권 신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는 삼산 방면 공동주택은 인근 공단에서 생산된 수소를 이용해 친환경 탄소 제로 수소타운으로 조성하기로 했다.
또 상대적으로 공단과 가까운 지역은 국가산단과 연계한 혁신 캠퍼스 용지와 R&D 및 공공용지를 조성해 남구의 다른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낙후된 인근 야음·장생포·선암동 지역에 활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지역으로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개발 이익은 공공이 회수해 시민동산 상생의 숲 조성에 최우선 투입키로 했다.
시는 제시안에 대한 민관협의회의 자문을 구했다. 위원장을 포함해 14명의 위원 중 11명이 찬성했고, 3명은 반대했다.
시는 야음지구 개발 사업과 관련해 토지이용계획이 변경되는 만큼 LH가 사업 분석을 다시 실시해야 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는 시민동산 상생의 숲 조성에 약 1500억원이 필요한 반면, 야음지구 확장에 따른 개발 이익이 2000억원에 달해 경제성은 충분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시는 자체 경제성 분석 결과 비용 대비 편익이 기준치인 1을 웃돈다는 결과를 얻었다.
송철호 시장은 “동의한 민관협의회 위원은 물론, 다른 의견을 갖고 있는 위원들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소통하고 자문을 구했다”며 “민주주의를 통한 집단지성의 과정을 사업 완료 때까지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국토부와 LH가 시의 제시안을 받아들이면 야음지구 개발이 본격화된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