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M(Urban Air Mobility·도심항공교통)산업의 선도 국가인 미국은 지난 2009년 기체 설계·제작을 시작해 2017년 이미 시험 평가를 완료하고 2024년 상업 운용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유럽 역시 2010년대 들어 사업에 뛰어들었고, 빠르면 2023년부터 상업 운영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대자동차와 한화시스템을 중심으로 2020년 설계·제작을 시작해 2025년 상업화를 실시할 예정이다.
세계 각국의 주도권 다툼이 치열한 가운데 국내 지자체도 일제히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만큼, 울산이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관련 인프라 구축과 민간기업 협력 등을 서둘러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국내 지자체 경쟁 치열
UAM 산업에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가 관심을 갖고 있어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UAM 상용화와 대규모 실증을 위한 민관 협의체인 UAM 팀코리아에는 전국 17개 지자체 중 11개 지자체가 가입해 있다. 서울과 경기, 인천, 부산 등 전국 8개 지자체가 먼저 가입했고, 울산은 경북·충북과 함께 후발 주자로 참여하고 있다.
이 가운데 서울은 시범노선 운용 핵심지역으로 지정돼 관제 분야에 속도를 내고 있다. 경남은 항공우주산업 스마트 제조 거점화 전략을 추진하며 한국항공우주산업주식회사(KAI)를 중심으로 UAM 육성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부산은 전국 최초로 유무인 통합 스마트 버티포트 구축 및 해상환경 특화 UAM 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오시리아 복합관광단지에 UAM을 도입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특히 인천은 기업체와의 협력을 바탕으로 기체 개발 실증부터 배터리 개발·교통 관리·항공 인프라 구축 등 UAM 산업 전방위에 걸쳐 산업 육성을 추진하고 있다.
UAM 팀 코리아에 참여하지 않은 지자체들도 호시탐탐 산업화 기회를 엿보고 있다. 강원은 액화수소 UAM 시제기 및 UAM 전용 모터 개발을, 전남은 그랜드 챌린지 1차 테스트베드로 선정돼 실증·관제·운영 분야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전북은 전주시를 중심으로 버트포트 콤플렉스를 조성한다는 구상을, 충남은 전국 유일 회전익 항공기 정비단지를 기반으로 UAM 산업을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이에 따라 울산이 UAM 선도 도시로 자리매김 위해서는 경쟁 지자체와 차별화된 추진 전략을 수립하는 것은 물론, 관련 기업의 조기 산업 전환을 통한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는 조언이 제기된다.
◇기체 제조 외 분야 인프라 부족
울산은 현대자동차를 중심으로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산업 인프라가 구축돼 기체 제조 분야에서는 타 지자체보다 경쟁 우위에 있다. 반면 자율주행과 운항, 관제 등 분야의 역량은 부족하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대형 공항이 위치한 서울과 부산, 인천 등이 공항을 중심으로 버티포트를 구축하고 항공 인프라를 연계하는 것과 비교된다는 것이다.
실제 시가 전국 산학연을 대상으로 UAM 5대 분야 수요 조사를 실시한 결과 기체 17곳, 서비스 13곳, 항행·교통 12곳, 핵심 기술 12곳, 인프라 7곳 등이 수요가 있다고 답변했다.
반면 울산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는 기체 분야 15곳, 서비스 1곳, 핵심 기술 1곳으로 수요가 기체 분야에 집중됐다. 항행·교통 및 인프라 분야 수요는 전혀 없었다.
기본 인프라와 수요를 감안하면 UAM 산업 구성의 핵심 분야 중 실시간 운항 정보 기반 교통관리 시스템 개발, 완전 자율비행 조종 기술 개발 등의 경쟁력이 극히 취약한 것으로 확인된다.
국내외 UAM 전후방 산업과 협력 강화로 기술 생태계를 확장하고, 김포·인천공항 실증에 참여 중인 통신·ICT 기업 등과 협력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지만 울산의 강점에 집중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온다.
신동춘 글로벌항공우주산업학회장은 “관 주도 사업은 예산 측면에서 한계가 뚜렷한 만큼 관제·운항 등은 기술력을 지닌 기업체의 지원을 받는 게 현실적”이라며 “UAM 산업은 경쟁이 치열한 만큼 전략적인 특화가 필요하다. 공약에 너무 매몰되지 말고 강점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