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를 국내 최고의 원자력 산업 전주기 산학연 협력지구로 만든다는 계획을 골자로 한 울산시의 원자력 및 원전해체 산업 활성화 계획이 중점 산업인 원전해체 산업의 축소 가능성으로 차질을 빚을 것으로 우려된다.
시는 6일 부산시청 1층 대회의실에서 울산·부산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활성화 추진단 첫 회의를 개최했다.
추진단은 산업통상자원부, 울산·부산시,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테크노파크, 지역 연구기관 및 대학, 원자력 관련 협회 등 원자력 에너지 분야를 아우르는 각계 전문가 30명으로 구성됐다.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의 중점 산업은 원전해체 산업이며, 연계 산업은 원전 해체와 연계된 원자력 기술, ICT, 플라즈마, 수소 기술 산업 등이다.
추진단이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활성화를 모색 중이지만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의 중점 산업인 원전해체 산업이 새 정부 출범 후 동력 약화가 우려된다는 점이 걸림돌로 작용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5월 출범하는 새 정부는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기조를 백지화하겠다고 공약했다. 이에 한수원은 내년 4월 수명이 만료되는 고리 2호기의 연장 가동 절차에 나섰다. 향후 가동 만료 시한이 다가오는 다른 원전의 수명도 순차적으로 연장될 것으로 예상된다.
폐로가 결정된 고리 1호기와 월성 1호기를 제외하면 2030년까지 총 10기의 원전 수명이 만료될 가능성이 높은데, 만약 가동 연한이 늘어날 경우 원전해체 산업에 직격탄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더 큰 문제는 올 6월께 완료 예정인 원전해체 기술 경쟁력 강화 기술개발 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여부다. 이는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의 핵심인 원전해체연구소 설립과 직결된 사안이다.
한수원은 1500억원을 투입해 원전해체연구소 건물을 조성하고 정부와 울산·부산은 1000억원을 분담해 내부 기자재를 구축한다. 실제 기술 개발은 원전해체 기술 경쟁력 강화 사업의 예타 통과 이후 공모를 통해 진행하는 구조다.
한수원은 당초 지난해 원전해체연구소를 착공할 계획이었지만 원전해체 기술 경쟁력 강화 사업이 예타에서 1차 탈락하면서 차질을 빚었다. 이번 예타마저 통과하지 못하면 껍데기뿐인 원전해체연구소로 전락할 우려가 발생하는 만큼 정부는 사업비를 축소해 다시 예타를 진행하고 있다.
1차 탈락 당시 사유는 경제성 부족이었는데, 당장 해체할 원전이 줄어들 경우 경제성 부족이 더 두드러질 수 있다.
한수원은 원전해체연구소 건립 관련 행정절차를 모두 마무리하고 예타 결과를 기다리고 있다. 한수원은 6월 중 예타를 통과하면 발주를 거쳐 10월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원전해체 기술 경쟁력 강화 사업이 예타 문턱을 다시 넘지 못할 경우 이미 한 차례 지연된 원전해체연구소 건설은 재차 지연이 불가피하고,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활성화 역시 요원해진다.
울산시 관계자는 “수명 만료 예정인 원전이 연장 가동될 경우 시장 규모는 축소되지만 이미 해체 절차를 밟고 있는 원전이 2기 있어 큰 타격은 없을 것”이라며 “연관 산업을 병행 추진하는 만큼 에너지산업융복합단지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