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3년에 이어 지난 3월 대형 산불이 발생한 울산 울주군 언양읍 직동리 야산에 대한 피해목 제거와 조림사업 등 산림 복구작업이 크게 늦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국비 매칭사업으로 진행되는 이들 사업은 국비 확보가 관건인데, 전국적인 잇단 대형 산불 발생 속에 울산은 상대적으로 피해규모와 시급성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13일 울주군에 따르면 군은 지난달 초 발생한 언양읍 직동리 야산 화재의 복구계획 수립을 위해 정확한 피해와 현황 조사를 실시한다. 직동리 산불은 당시 임야 11㏊를 태우고 약 10시간만에 진화됐다. 군은 산불 발생 이후 1차적인 피해 조사만 한 상태다.
군 관계자는 “피해를 입지 않은 나무들에서 꽃봉오리가 맺히는 시기인데다 자연복구가 가능한 곳도 있어 전문가들과 피해현장을 면밀히 조사해 이를 토대로 수종과 예산 등 연도별 복구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산불이 발생한 곳은 지난 2013년에 대형 산불로 막대한 피해를 본 언양·상북 일원 야산 중 한 곳이다. 당시 산불로 언양·상북지역 야산 280㏊가 소실됐고, 군은 국비 25억원 등 총 42억여원을 들여 2015년까지 산불 피해목 제거작업과 조림사업(75㏊)을 실시했다. 군은 당시 편백과 상수리, 산벚나무 등 9종 16만여그루의 수목을 심었다.
하지만 이들 나무가 제대로 뿌리를 내리기도 전에 또다시 발생한 산불로 가뜩이나 민둥산이었던 이 곳은 더 휑한 민둥산이 됐다. 군은 이 곳에 속성수(생장 속도가 빠른 나무)를 심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조림사업과 피해목 제거, 사방사업 등은 국비 매칭사업으로 국비 확보가 관건이어서 어려움이 예상된다. 지난 겨울과 올 봄 경북과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적으로 대형 산불이 잇따르면서 울산이 우선 순위에서 밀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산림청은 피해 규모와 시급성 등을 따져 국비를 배분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군비로 자체적으로 할 수도 있으나, 군은 군비로 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이어서 조림사업은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군 관계자는 “일부 자연복구 가능성도 있어 면밀히 조사해 국비 확보를 통해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울주군은 지난 2020년 발생한 청량·웅촌 산불 피해지역에 작년부터 국비 등 총 72억원을 들여 피해목 제거와 산사태 예방, 조림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