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울산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2월 경찰청은 울산을 포함해 강원, 충북 등 3곳의 경찰특공대 창설을 위한 소요정원안을 행정안전부에 제출했다.
경찰청은 지난 2018년부터 전국 18개 시·도경찰청에 1청 1특공대 설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울산 등 3곳은 경찰특공대가 운영되지 않고 있다.
울산경찰청은 지난 2019년부터 행안부에 경찰특공대 창설을 위한 인원 증원을 요청, 올해로 4수째 도전중이다.
울산경찰은 울산에 전국 최대 규모의 화학물질 위급업체가 밀집해 있어 화학테러 등의 가능성이 높은 만큼 전문 대응조직이 필요한 점을 부각하고 있다. 또 울산이 특·광역시 중 가장 면적이 넓고, 전력·가스·정유·원전 등 핵심기반시설과 함께 국제항만인 울산항과 방재업체가 다수 소재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해외사례를 보면 대부분의 테러상황은 1시간내 종료된다. 부산 경찰특공대가 현재 울산지역 테러상황을 관할하고 있지만, 해운대구에서 울산시청까지 출동시간에만 대략 1시간이 소요돼 긴급대응이 불가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 통상 7~8월에 행안부 심의 결과가 나오는 것을 감안하면, 새 정부에서 경찰특공대 소요정원안 심의를 맡게될 것이란 관측이다. 울산경찰은 올해 행안부로부터 소요정원안이 통과되면 준비기간을 거쳐 내년께 경찰특공대를 창설한다는 계획이다.
이우사기자 woosa@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