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만족도 6년새 70.2%→33.5%로 ‘뚝’
상태바
교직만족도 6년새 70.2%→33.5%로 ‘뚝’
  • 신형욱 기자
  • 승인 2022.05.12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시 태어나도 선생님이 되겠다는 현직 교사들의 비율이 처음으로 30%를 하회하는 등 교직 만족도가 크게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11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스승의 날을 앞두고 전국 유치원과 초·중·고·대학 교원 8431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다시 태어나도 교직을 선택하겠는지 묻는 항목에 ‘그렇다’는 응답은 29.9%에 그쳤다. 이 조사가 시작된 이후 처음으로 30%를 하회한 것이다.

교직생활에 만족·행복한지 질문에는 33.5%만 그렇다고 답했다.

이 항목에 대한 긍정 응답률은 2006년에는 67.8%, 2012년 56.3%, 2016년에는 70.2%까지 올랐고 2019년에도 52.4%였지만, 2020년 32.1%, 2021년 35.7% 등 코로나 유행 이후 3년 연속 30%대를 나타내고 있다.

교원들은 교직생활 중 가장 큰 어려움으로 ‘문제행동, 부적응 학생 등 생활지도’(24.6%)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학부모 민원 및 관계 유지’(22.1%), ‘교육과 무관하고 과중한 업무’(18.8%)의 어려움도 호소했다.

교총은 “수업방해 등 교권침해 학생에 대한 즉각적인 생활지도방안 부재, 정상적 교육활동조차 아동학대로 신고당하는 현실, 학부모의 무고성 민원과 명예훼손, 몰카 탐지까지 떠맡겨지는 등 과도한 업무에 교사들의 사기와 자긍심이 무너지고 있다”고 말했다.

교원들의 사기가 최근 1~2년간 떨어졌는지 항목에서는 78.7%가 그렇다고 답했다. 지난해 78.0%보다 떨어진 것으로 2009년 55.3%보다 23%p 부정답변이 높아져 최근 들어 교사들의 사기 저하가 심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장에서 교권 보호가 되고 있는지 질문에는 ‘그렇지 않다’는 답이 55.8%였고, ‘그렇다’는 답은 16.2%에 그쳤다.

교권 하락과 사기 저하로 인한 문제점으로는 ‘학생 생활지도 기피, 관심 저하’(38.1%), ‘헌신, 협력하는 교직문화 약화’(20.4%), ‘학교 발전 저해, 교육 불신 심화’(17.3%), ‘수업에 대한 열정 감소로 교육력 저하’(14.1%) 등을 지적했다. 차형석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현장사진]울산 태화교 인근 둔치 침수…호우경보 속 도심 곳곳 피해 속출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4)공원이 품은 정신-해오름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