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훈 국회의원, 촉구
김종훈 국회의원은 29일 일본이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출을 계속 검토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외교적 마찰을 감수하더라도 사전 피해 시뮬레이션과 대비 시나리오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김 의원은 “원안위가 제출한 일본 ALPS 소위원회 자료를 검토한 결과 일본정부는 비용절감과 손쉬운 방법만 찾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원안위가 일본 경제산업성 ALPS(다핵종 제거 설비) 처리수 취급 소위원회 안건을 바탕으로 파악한 현황을 보면 오염수 처분 대안은 △해양배출 △대기(수증기)방출 △지층주입 △전기분해 배출 △지하매설 △계속저장 등 6개다.
소위원회 사무국은 이중 지층주입, 전기분해, 지하매설 방안을 기술적·시간적 어려움 등으로 배제했다.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들이 제기한 계속보관의 경우에도 부지확보의 어려움, 자연재해에 따른 대량 유출의 위험 등의 이유로 이점이 없다고 평가했다.
사실상 일본정부가 가장 손쉬운 해양방출과 수증기방출을 선택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김종훈 의원도 “시간이 소요되더라도 지하매설 등 해양과 대기를 오염시키지 않는 방향으로 논의가 진행돼야 하는데 일본은 이를 아예 배제했다”며 “현재 정부가 외교적 대응을 하는 것도 중요하시만 실제 배출에 대한 대비도 필요하고, 일본이 기타핵종 수치 등을 정확히 공개하고 있지 않지만 모든 경우의 수를 대비해 시뮬레이션 하고 피해 대비 시나리오도 준비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