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울산시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6·1지선 본투표 때 울산지역 선거 투·개표 종사자는 투표 관리관 281명, 투표 사무원 3817명, 개표 사무원 1834명 등이다. 사전투표 이틀 동안 투입된 선거 인력은 투표 관리관 112명, 투표 사무원은 1742명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들 종사자 중 투표 사무원들에게는 기본 수당 6만원과 사례금 4만원에 특별한시사례금 15만원이 더 지급된다. 확진자들과 격리자들의 투표를 담당해 업무 강도가 늘어남에 따른 것으로, 여기에 식비 2만1000원을 포함하면 투표 사무원들은 기본 27만1000원을 수당으로 받는다.
투표 관리관들은 투표소 전체와 사무원들의 관리까지 동시에 진행하는 업무 강도를 고려해 기본 사례금을 6만원 높은 10만원으로 책정했다. 이에 하루 수당은 33만1000원이다.
개표 사무원들은 특별한시사례금이 적용되지 않아 기본 수당 6만원과 사례금 4만원 등 기본 일당이 10만원이다. 지선 개표는 자정을 넘어 이틀 동안 진행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틀 분인 20만원, 여기에 식비 1만4000원을 더해 21만4000원을 지급받게 된다. 만일 개표가 다음날 오전 6시를 넘어서게 되면 시간당 1만원씩 수당이 더 추가된다.
이는 지난 3·1 대선때 개표가 일비 6만원, 투표가 일비 6만원에 사례금 4만원을 합쳐 10만원을 받은 것에 비해 수당이 대폭 늘어난 것이다. 당시 울산을 포함한 전국에서 공무원노동조합을 중심으로 동의 없는 선거사무 차출과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수당 지급 등에 반발하는 목소리가 커 수당 등을 현실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이번 지선 때는 투·개표원 모집 등에 큰 어려움은 없었다는 설명이다.
시선관위 관계자는 “울산지역도 이번 사전투표 사무원 모집 등에서 저번 선거보다 지원율이 높았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번 지선 때는 확진자 투표 등을 관리하며 업무가 늘어난 점을 감안해 특별한시사례금 지원으로 수당이 높게 지급됐다”고 말했다.
북구 투표 사무원 관계자는 “수당이 많이 오르면서 학교 등 공무원 단체에서 이전보다 지원을 많이 하려는 분위기였다”며 “일각에서는 그래도 최저임금보다 낮은 수준이라는 말도 있지만 특별한시사례금이 지급되며 이전보다는 많이 나아진 것 같다”고 밝혔다. 정혜윤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