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옥희 현 울산시교육감의 재선으로 맞춤형 교육복지와 교육의 공공성 강화 등 울산교육정책의 기조는 크게 달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무상교육과 혁신학교 등이 추진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가운데, 수장이 대부분 보수성향으로 바뀐 지방자치단체와 관계설정과 협치 등이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노 교육감은 지난 4년간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울산교육’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차별 없는 교육 복지와 청렴 교육 정착, 공교육 내실화, 교육 혁신 등에 매진해왔다. 이 결과 교육복지와 청렴도는 전국 최고 수준에 도달한 게 여러 지표로도 드러났다.
두 번째 임기를 맞는 노 교육감은 이 같은 교육정책 기조 속에 ‘변화와 혁신’ 드라이브를 더 가속화 할 것으로 보인다.
노 교육감은 당선 직후 교육 방향에 대해 “교육의 공공성을 더욱 강화하고 빈틈없는 맞춤형 지원으로 울산교육이 우리나라 공교육의 표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며 “아이들이 미래형 학교에서 새로운 꿈을 찾아 꽃피우고 모두가 더불어 행복한 내일을 준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참여하고 소통하는 교육으로 학생, 학부모, 교직원 모두가 학교의 주인이 되는 민주적인 학교를 만드는 한편, 안전하고 평화로운 학교에서 우리 아이들이 글로벌 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교육공동체를 만드는데 힘을 쏟을 예정이다.
이와 함께 생태교육 대전환과 학생 중심 미래 교육을 울산교육 대전환으로 실현해 나가는데도 적극 나서고, 학생의 학습, 심리·정서 등 결손을 종합 지원해 빠른 교육 회복을 이뤄나가는데도 역량을 집중할 방침이다.
노 교육감은 재선으로 새 정책을 추진하는 데에도 상당한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특히 진보 교육의 상징이 된 무상교육과 혁신학교 등이 추진에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그는 이번 선거에서 △단계별 맞춤형 교육인 ‘배움성장집중학년제’ 실시 △숲과 놀이터가 있는 학교 환경 조성 △사립유치원 무상교육 △과밀학급 개선 등을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다만 대통령 선거와 지방선거를 통해 정부는 물론 대부분 보수성향으로 바뀐 지방자치단체와 관계설정과 협치 등이 중요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대표적으로 전 문재인 정부가 오는 2025년 자사고와 외고를 일반고로 전환하기로 한 것에 대해 윤석열 정부가 자사고 부활 등에 나서거나 영재학교 설립 등에 나설 가능성도 있어 자칫 갈등도 예상되고 있다. 노 교육감은 자사고·외고의 일반고 전환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입장이다.
또 무상급식과 학생 관련 조례 등 각종 정책과 조례 등에 있어 보수 성향의 정당이 집권한 지자체와 울산시의회 등과도 대립하거나 마찰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와 함께 전국적으로도 교육감 성향이 진보 9, 보수 8로 팽팽히 나뉘며 2018년과는 구도가 바뀐 점도 진보성향의 교육정책을 밀어붙이기에 부담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