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의 인적쇄신 등 요구하며
4선 한선교·3선 여상규 의원
자회견 열고 불출마 선언
부산지역만 4명에 경남 2명
민주당도 장관겸직 의원 4명
총선 불출마 공식 선언 예고
21대총선과 관련, 원내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의 부산·경남지역 출신 현역 국회의원들이 인적쇄신 차원에서 잇따라 불출마 선언을 하고 있는 가운데 동남권지역 가운데 유일하게 울산만 움직임이 없어 울산지역 총선전략과 관련, 너무 안주하는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당은 2일 현재 내부적으로 황교안 대표체제에 대한 불신임 여론이 비등해지고 있는 가운데 울산·부산·경남 등 동남권 가운데 부산·경남 출신 의원들이 불출마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한국당 4선 한선교(경기도) 의원과 3선 여상규(경남) 의원은 2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불출마를 선언했다. 부산출신 재선이자 황 대표의 비서실장을 맡아온 김도읍(북·강서을) 의원이 불출마를 선언한 지 이틀 만이다.
앞서 부산과 경남지역에서 당의 인적쇄신 등을 요구하며 불출마를 선언한 김무성(중·영도)·김세연(금정)·윤상직(부산기장)·김성찬(창원 진해구) 의원과 김영우·유민봉 의원 등까지 총 9명의 한국당 현역의원이 이번 총선에 나서지 않기로 했다. 부산지역만 벌써 4명, 경남지역이 2명이다.
판사 출신으로 3선(경남 사천시·남해군·하동군)인 여 의원은 이날 “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법과 공수처 설치법이 강행처리되는 과정에서 당 지도부가 무책임한 태도로 일관했다”며 “황 대표든, 심 원내대표든 책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 의원은 보수통합과 관련 “당 지도부가 보수진영 빅텐트 통합을 어떻게 추진하고 있는지 아무것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며 “당 대표를 포함해 한국당 전체 의원들까지 모든 것을 내려놓고 빅텐트 하에 순수하게 모여 당명까지도 빅텐트에서 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당내에서는 패스트트랙 정국을 지나면서 황 대표 퇴진론과 함께 비대위 전환요구는 더욱 거세지는 양상이다. 여 의원은 이날 “지도부가 물러나고 당은 비대위 체제로 선거를 치러야 한다”고 했고 앞서 홍준표 전 대표는 “지도부 총사퇴하고 통합 비대위나 구성하라”고 했다.
영남권 중진 의원도 “황 대표는 정당과 국회, 나아가 정치 전반에 대한 무지와 무능을 드러냈다. 여기에서 비롯된 독선과 극단주의 쏠림으로 제1야당 회생에 황금같은 기회를 날렸다”며 “책임지고 즉각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 대표의 퇴진론은 야권 대선주자 중 선호도가 높지만, 각종 여론조사에서 10~20%에 그치는 등 당지지율에도 못미치지 못하고 있어 황 대표 체제로 총선을 치를 경우 수도권은 궤멸에 가깝고 부산·경남에서도 ‘정권 심판론’이 먹히지 않으리라는 분석에 따른 것이다.
한편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소속 4선 의원인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 김현미(3선) 국토교통부 장관, 유은혜(재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등 겸직 장관 4명이 3일께 총선 불출마를 공식 선언할 것이라고 당관계자가 전했다.
이에 따라 총선에 불출마하는 민주당 현역 의원은 이해찬 대표와 원혜영(5선)·백재현(3선)·이용득·이철희·표창원(이상 초선) 의원까지 10명으로 늘게 된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정세균 국무총리 후보자도 총선에 출마할 가능성이 없다. 이외 서형수·김성수·제윤경·최운열 의원도 불출마 뜻을 굳힌 상황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