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 새 역사책 도입…국정화 폐지후 3년만에
상태바
중·고교 새 역사책 도입…국정화 폐지후 3년만에
  • 신형욱 기자
  • 승인 2020.01.12 20: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올 3월부터 개편 교과서 적용

중학‘역사’ 전근대사 위주로

고교‘한국사’ 근현대사 중심
올해 3월 새 학기부터 중·고등학생들이 바뀐 역사 교과서로 공부하게 된다.

12일 교육계에 따르면 새 역사 교과서의 가장 큰 변화는 중학교 때는 선사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전근대사 위주로, 고등학교 때는 개항기 이후 현재까지 근현대사 위주로 배우는 것이다.

올해 새로 도입되는 중학교 ‘역사’ 교과서 6종은 전근대사가 80%, 근현대사가 20%로 구성돼 있다. 반대로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8종은 전근대사 27%, 근현대사 73%로 이뤄졌다.

기존의 역사·한국사 교과서는 전근대사와 근현대사 비중이 반반에 가까웠다. 학생들이 중학교 때 배운 내용을 고교에 올라가서 반복 학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앞으로 학생들은 중학교 때 전근대사 위주로 전반적인 역사 지식의 토대를 다지고, 고등학교 때 근현대사 위주로 큼직한 정치·사회 변화상을 배우게 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변화다.

교과서에 담긴 세부 학습요소의 양은 기존 교육과정 대비 20%가량 축소됐다. 학교 현장의 자율성을 높이고 교사가 학생들의 창의적인 학습을 끌어내도록 하기 위해서다.

과거 논란이 됐던 국가 정체성에 관한 내용은 기존 교과서보다 분명한 표현으로 기술됐다.

6·25 전쟁은 북한의 남한 침략(남침)으로 시작된 전쟁이라는 점이 명확히 담겼다. 한국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북한은 ‘북한 정권 수립’으로 표현이 통일됐다.

민주주의 표현에 대해서는 교육과정과 집필 기준에 ‘자유민주적 기본질서’라는 표현을 제시하면서 ‘민주주의’와 ‘자유민주주의’ 중에서는 집필진이 표현을 고를 수 있도록 했다.

일제의 물자 수탈, 강제징용 및 일본군 성노예제(위안부) 등 일제 침탈사와 독도에 대한 일본의 역사 왜곡은 분량과 내용의 폭이 확대됐다.

고등학교 교과서 8종 모두 일제의 강제동원과 독도를 각각 특집 페이지로 다루고, 학생들에게 참여 활동을 제시한다.

그동안 공교육에서 소홀히 다룬다는 지적이 많았던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한 내용은 대폭 늘어났다.

대한민국애국부인회를 창립한 김마리아와 황에스더(미래엔), 여성 독립군 오광심(천재교육), 여성 독립군이자 한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인 권기옥(해냄에듀) 등 더 많은 여성 독립운동가를 학생들이 배우게 됐다.

올해 도입되는 역사·한국사 교과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만들어진 첫 역사 교과서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