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산 탄성소재 실용화센터 건립 청신호
상태바
양산 탄성소재 실용화센터 건립 청신호
  • 김갑성 기자
  • 승인 2022.11.09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남도가 양산시에 ‘탄성소재 실용화센터’ 설립을 목표로 추진 중인 ‘핵심전략산업 대응 탄성소재 재도약 사업’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예비타당성(이하 ‘예타’) 대상사업으로 선정됐다. ‘탄성소재 실용화센터’가 설립되면 양산시는 고기능 탄성소재 제품 실용화와 부품 성능 평가의 메카로 부상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남도는 자동차, 항공·우주 등 모빌리티 분야의 탄성소재 실증·인증 지원을 위해 양산 혁신지원센터에 장비 16종 등을 설치하는 탄성소재 실용화센터 설립을 계획하고 있다.

‘탄성소재 재도약 사업’은 정부가 2024년부터 5년 동안 총 2304억원을 투입해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 확보, 탄성소재 글로벌 강국을 실현하는 것이 목표다.

경남도와 부산시, 전남도는 이미 지난 9월 사업 기획을 완료하고 과기부에 예타 신청 후 대상사업 선정을 위한 활동에 주력했다.

사업의 주요내용은 모빌리티, 에너지, 스마트기계·전자 등 국가 핵심전략산업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고기능·신기능·지속가능 탄성소재 기술개발과 3개 시·도의 주력산업을 뒷받침할 실증기반 구축이다.

탄성소재는 자동차 타이어, 튜브, 오링, 개스킷 등의 부품·제품 생산에 사용되는 고무소재로, 경남도의 주력산업인 자동차, 방산, 항공·우주 등의 산업 분야에서 제품의 안전성, 내구성, 방진성 등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소재이다.

초광역 협력사업으로 공동 기획하게 된 것은 ‘원소재(전남)-중간재(부산)-부품·제품(경남)’으로 탄성소재 산업의 가치사슬이 이미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양산에는 넥센타이어(주), (주)화승알앤에이, (주)흥아 등 탄성소재 산업의 주요 기업들이 집적돼 있어 ‘탄성소재 실용화센터’가 설립되면 기업의 매출 성장과 무역수지 개선, 지역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효과가 기대된다. 2028년까지 생산유발 9103억원, 부가가치 유발 2880억원, 직·간접 고용효과는 6128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번 사업의 예타 통과 여부는 과기부의 과학기술적·정책적·경제적 타당성 조사·평가 후 내년 6월께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김갑성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6)도시바람길숲-새이골공원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
  • 태화강 2년만에 홍수특보…반천에선 車 51대 침수
  • [정안태의 인생수업(4)]이혼숙려캠프, 관계의 민낯 비추는 거울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문성해 ‘한솥밥’
  • 양산 황산공원 해바라기 보러 오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