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구 소주 공세에 힘잃은 향토소주
상태바
전국구 소주 공세에 힘잃은 향토소주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2.11.29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참이슬’ ‘처음처럼’ 등 전국구 소주의 공세가 거세지면서 지방에 기반을 둔 지역 소주들의 명성이 점차 약화되고 있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좋은데이’를 보유한 울산·부산·경남지역 주류업체 무학은 지난해 매출이 1269억원으로 10년 전인 2011년 대비 37.3% 줄었다. 무학은 2015년 2958억원으로 최고치를 찍었고 6년 만인 지난해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또 ‘잎새주’를 보유한 전남지역 주류업체 보해양조의 지난해 매출은 837억원으로 10년 전보다 35.8% 줄었다. 대구 지역의 금복주는 지난해 매출이 627억원으로 10년 전보다 43.2% 감소했고, 충북소주는 123억원으로 40.6% 줄었다.

이처럼 한때 각 지역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자랑하며 향토기업으로 명성을 자랑하던 지역 소주업체들의 입지가 점차 흔들리고 있으며,기존의 높은 시장 점유율을 고수하기 힘든 상황이 됐다.

실제로 하이트진로의 지난해 매출은 2조2029억원으로 10년 전보다 60.4% 늘었고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매출이 2조5061억원으로 20.1% 증가했다. 특히 2019년 4월 출시한 화이트진로의 ‘진로’가 39개월 만에 12억병 넘게 판매되기도 했다.

이는 지역에 연고를 두고 지역 경제에 이바지하는 향토 기업에 대한 충성도가 있었지만, 점차 소주를 선택할 때 충성도보다는 기호가 더 크게 작용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석현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