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이과 통합형 2년 차였던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국어는 평이했던 반면 수학은 지난해만큼 어려웠던 것으로 나타났다.
8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달 17일 치러진 2023학년도 수능 채점 결과를 발표했다.
영역별 표준점수 최고점을 보면 국어는 평이했다. 표준점수는 개인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다.
통상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으면 만점자가 받을 표준점수, 즉 표준점수 최고점은 상승한다. 시험이 쉬우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하락한다.
수능 국어영역의 경우 표준점수 최고점이 134점으로 전년(149점) 대비 15점이나 하락했다.

국어 표준점수 최고점은 2019학년가 150점으로 역대 수능 가운데 가장 높았고, 이후 계속 140점대를 유지했지만 올해는 2018학년도(134점) 이후 5년 만에 130점대로 내려왔다. 1등급과 2등급을 가르는 구분점수(등급 컷) 역시 전년 131점에서 올해 126점으로 5점 내렸다. 이는 2013학년도(125점)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만점자 수는 371명(0.08%)으로 전년(28명, 0.01%) 대비 크게 늘었다.
수학영역의 경우 표준점수 최고점이 전년(147점) 대비 2점 하락한 145점을 기록했다. 1등급 컷은 133점으로 전년(137점) 대비 4점 하락했다.
하지만 만점자 수는 전년(2702명, 0.63%) 대비 3분의 1 토막이 난 934명(0.22%)으로 집계됐다.
수학영역 만점자 수가 1000명을 밑돈 것은 2018학년도(수학 가형 165명, 수학 나형 362명) 이후 처음이어서 올해 수학이 최상위권 학생들에게 상당히 어려운 시험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절대평가인 영어영역에서 원점수 90점 이상으로 1등급을 받은 수험생 비율은 7.83%(3만4830명)로, 상당히 어렵다는 평가를 받았던 전년 수능(6.25%, 2만7830명)보다 다소 늘었다.
다만, 2등급 비율은 18.67%, 3등급 비율은 21.75%로 각각 전년 대비 3~4%p가량 하락해 중위권 학생들의 체감 난도가 높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탐구영역의 경우 1등급 컷은 사회탐구 65~68점, 과학탐구 64~68점, 직업탐구 67~74점으로 나타났는데 사회탐구와 직업탐구의 등급 컷이 전년(사탐 63~66점, 직탐 66~70점) 대비 다소 상승한 모습이다.
선택과목별 등급 컷은 사회탐구의 경우 윤리와 사상, 경제(각 68점)가 가장 높았고, 과학탐구의 경우 화학Ⅰ(68점)이 가장 높았다.
절대평가인 한국사 영역 1등급 비율은 28.88%(12만9273명)로 전년(37.57%)보다 9%p 가까이 떨어졌다.
한편 올해 수능 만점자는 3명이며, 성적통지표는 9일 교부된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