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꺼리고…아이 덜 낳고…울산 신혼부부 감소폭 전국 최고
상태바
결혼 꺼리고…아이 덜 낳고…울산 신혼부부 감소폭 전국 최고
  • 권지혜
  • 승인 2022.12.13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울산지역 신혼부부가 17개 시도 중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혼인 신혼부부 10명 중 4명은 자녀가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집을 소유한 울산 신혼부부의 비중은 56.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지역 신혼부부(혼인신고 한지 5년 이내 부부)는 2만4721쌍으로 전년(2만7835쌍) 대비 11.2%(-3114쌍) 줄었다. 17개 시도 중 가장 큰 감소폭이다. 경남(-9.5%), 대구(-9.4%) 순으로 감소폭이 두드러졌다. 같은기간 전국 신혼부부는 7.0% 감소했으며 17개 시도 모두 전년 대비 감소했다.

신혼부부는 경기(29.5%), 서울(18.2%), 인천(5.9%) 순으로 많이 거주했다. 울산은 2.2%에 불과했다.

울산 전체(2만4721쌍) 신혼부부 중 초혼은 1만9463쌍, 재혼은 5224쌍이었다. 구군별로 살펴보면 남구가 6756쌍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북구(6387쌍), 울주군(4670쌍), 중구(3763쌍), 동구(3146쌍) 순이다.

초혼 신혼부부 가운데 자녀가 있는 부부(1만1606쌍)의 비중은 전체의 59.63%로, 60% 이하로 떨어졌다. 즉 초혼인 신혼부부 10명 중 4명은 자녀가 없는 것이다. 평균 자녀수는 0.72명으로 0.05명 줄었다.

초혼 신혼부부 중 맞벌이 부부 비중은 48.6%로 전년보다 5.5% 증가했다. 울산지역 맞벌이 부부 비중은 2015년 33.9%, 2018년 38.1%, 2019년 39.7%, 2020년 43.1% 등 매년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전국에서 경북(47.8%)에 이어 두번째로 낮았다.

울산 초혼 신혼부부 중 1명이라도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신혼부부의 비중은 56.1%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았다. 신혼부부의 주된 주거 유형은 아파트(84.0%)였다.

울산 신혼부부의 평균소득은 5832만원으로 전국 평균(6086만원)보다 254만원 적었다. 5000만원 이상 7000만원 미만을 버는 가구가 23.1%로 가장 많았으며 7000만원 이상 1억원 미만과 30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이 각각 22.7%, 22.2%였다.

대출이 있는 신혼부부의 비중은 88.0%로 전년보다 0.9% 늘었다. 권지혜기자 ji1498@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현장사진]울산 태화교 인근 둔치 침수…호우경보 속 도심 곳곳 피해 속출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폭우에 단수까지…서울주 3만5천여가구 고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