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8대에 이어 9대에도 연임해 성공한 노옥희 울산시교육감 체제로 맞은 울산시교육청은 미래형 수업환경 구축과 보편적 교육 복지 완성화, 안전환 교육환경 조성 등에 힘썼다. 또 교육 공공성을 더욱 강화하고 맞춤형 지원으로 울산교육을 우리나라 공교육의 표준으로 만드는 기초를 다졌다. 하지만 노 교육감의 갑작스러운 별세로 인한 수장 부재로 큰 혼란에 빠져 내년 4월 보궐선거 전까지 혼란을 최소화 하는게 과제로 떠올랐다.

◇미래형 수업환경 구축…교육복지 완성 단계
시교육청은 올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초등학교 1학년 학급당 학생 수를 20명 이하로 낮춰 쾌적한 교육 환경 속에서 학생의 주도성이 발휘되는 수업환경을 조성했다. 또 모든 교실에 초고속 무선망을 설치해 전자칠판을 중심으로 한 융합형 선진 교실을 조성하고 초등학교 5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1인 1학습용 스마트기기를 보급했다.

미래학교로 나아가기 위한 학교공간혁신과 그린스마트미래학교를 조성하고 울산 학생들의 미래역량을 키우는 기폭제가 될 미래교육관 설립도 추진하고 있다. 또 울산형 혁신학교인 서로나눔학교는 22개교로 확대됐고, 올해부터 5개 기초지자체 모든 곳에서 서로나눔교육지구를 공동으로 운영에 들어갔다.
교육복지도 지속 확대해 올해는 초등학교 신입생에게 입학준비금 1인당 10만원, 전 고등학생에게 최대 20만원까지 수학여행비를 지원했고, 여학생 생리용품도 처음 지원해 보편적 교육복지를 완성해 나가고 있다.
그동안 추진해온 무상교육, 무상급식, 중·고 신입생 교복비 지원 등으로 울산지역 학생 1인당 학부모 부담경비는 2017년 약 109만원에서 2020년에는 약 16만원으로 3년간 93만원(85%)이나 크게 줄어들었다.

◇안전한 교육환경 조성…생태환경교육 대전환
시교육청은 올해 학생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맞춤형 체험 중심 안전교육강화, 안전한 등하굣길 조성, 산업재해 없는 행복한 일터 만들기, 관계회복을 통한 평화로운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했다. ‘장애인 경보 및 피난시설’ 적정 설치율도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았고, 학교시설 내진 보강률도 90%로 전국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또 2024년까지 석면 제거 공사와 함께 내진보강을 완료할 예정이다.
학교폭력 및 아동학대 예방 온라인 통합지원시스템 ‘다풀림 톡’을 활용해 현장의 학교폭력 예방교육과 학교폭력 및 아동학대 사안 대응 지원을 강화했다. 또 코로나 확산에 따른 비상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재난상황실 및 24시간 콜센터 운영과 확진자 발생 대응 매뉴얼 안내 등 변화하는 재난 위기 속 실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등 신속한 대응 활동을 강화했다.
생태환경교육 대전환에도 노력을 기울여 체계적인 생태환경 교육의 토대를 마련했다. 행동하는 기후위기 대응 실천단 조직, 울산청소년환경문화제 운영, 교실온도 1.5℃ 낮추기 학급지원 등 생태환경 교육 공감대 형성에 노력했다. 특히 전국 최초 교육청 단위에서 추진되는 기후위기 대응 대규모 회의인 ‘100인의 원탁토론회’에 1173명이 참여하기도 했다.

◇교육감 별세로 수장 부재…혼란 최소 과제
하지만 이처럼 순항해오던 울산교육청은 연말에 교육감 별세로 인한 부재라는 뜻밖의 암초를 만났다.
노옥희 울산시교육감은 올해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사상 첫 보수진보 후보간 맞대결을 통해 재선에 성공했다. 울산 첫 진보·여성교육감이라는 타이틀을 지닌 그는 재선에 성공한 뒤에도 ‘울산 교육을 우리나라 공교육의 표준으로 만들겠다”며 임기 1기때 추진해 온 각종 진보적 교육정책을 완성하고 확대하는데 힘을 쏟았다.
그러나 12월8일 울산의 학 식당에서 열린 기관장협의회에서 심장마비 증세를 보이며 쓰러져 갑작스럽게 별세, 큰 충격을 주었다. 시교육청은 이용균 부교육감의 권한대행 체제로 전환, 내년 4월 보궐선거 전까지 고인의 정책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으나, 선거 전까지 수장 부재로 인한 혼란을 최소화 하는 게 과제로 남았다.
이와 함께 올해 초 아프가니스탄 특별기여자들의 울산 정착에 따른 학생들의 학교 배치 문제가 지역사회의 뜨거운 감자가 되었다. 또 고 노옥희 교육감과 민선 8대 울산시의회 교육위원화 간 진보적 교육정책 등을 둘러싼 예산 삭감 등의 갈등도 교육계 이슈였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