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업 외에도 추가 근로 소득을 위해 부업을 뛴 가구주 근로자가 5년 만에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평균 가정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가장(가구주)인 부업자는 36만8000명이었다. 가구주 부업자는 전체 부업자(54만7000명)의 67.3%를 차지했다.
2017년 1~3분기 평균 전체 부업자는 41만10000명, 가구주 부업자는 26만1000명으로 각각 올해 33.1%, 41.0% 증가했다. 전체 부업자 중 가구주 비율은 2017년 63.5%에서 올해 67.3%로 늘어났다.
평균 주업 근로시간과 부업 참가율을 비교한 결과 주업 근로시간이 줄어들수록 부업 참가율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경련은 주 52시간제가 도입된 2018년부터 주업 근로시간의 감소와 함께 부업 참가율이 증가했다며 줄어든 소득을 보전하기 위해 근로자들이 부업을 병행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지난 5년간 연령대별 부업자 추이를 보면 청년층과 고령층에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1~3분기 평균 20~30대 부업자는 2017년 7만8000명에서 2022년 10만7000명으로 37.2% 증가했고, 60대 부업자는 7만6000명에서 12만9000명으로 69.7% 증가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최근 고물가·고금리 상황에서 근로시간 규제로 초과근로수당을 받지 못해 실질임금이 깎인 근로자들이 어쩔 수 없이 부업 전선에 내몰리는 경우가 많다”며 “지속 가능한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