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지역 근로자들의 ‘일·생활 균형’이 낙제점을 받았다. 경북과 함께 전국 꼴찌 수준으로, 코로나 사태 후 일상회복으로 접어들면서 산업활동 활성화와 이에 따른 근로시간 증가 등 때문으로 풀이된다.
11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2021년 지역별 일·생활 균형 지수’에 따르면, 울산의 지수는 47.3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이는 전년(55.4점)보다 8.1점이나 하락한 것이다. 울산은 이로써 2020년 7위에서 2021년 16위로 9계단이나 순위가 크게 떨어졌다. 경북(47.3점)과 함께 전국 꼴찌 수준이다.
울산은 워라밸 지수가 첫 해인 2017년 4위에서 2018년 15위, 2019년 17위로 최하위까지 떨어졌다가 2020년 7위로 반등했으나 다시 추락했다.
지난해 전국 평균 일·생활 균형지수는 100점 만점에서 54.7점으로, 전년(53.4점)보다 1.3점 높아진 것과 대조적이다. 시도별로는 부산이 64.1점으로 가장 높고 서울(62.0점), 세종(60.8점)이 뒤를 이었다.
울산은 4개 영역 중 생활(16.6), 제도(16.3) 영역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으나 일(9.8), 지자체 관심도(4.6)가 전국 평균은 물론 17개 시도중 가장 낮았다. 특히 일 영역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10점대 밑의 점수를 받았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울산의 경우 일과 지자체 관심도 영역에서 점수가 크게 낮았다”며 “코로나 사태 후 일상회복으로 접어들면서 산업활동이 활성화 되고, 이에 따른 근로시간이 증가했기 때문이 아닌가 본다”고 밝혔다. 또 기업체 등에서 ‘유연근무제’ 이용률이 떨어진 것도 요인으로 분석했다. 유연근무제(유연근로시간제)는 근로자들이 자신의 근무시간 및 근무 장소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제도다.
부산은 지자체의 일·생활 균형 제도 홍보가 잘 되고 있고, 일·생활 균형을 담당하는 조직과 조례가 뒷받침되고 있는 등 지자체 관심도 영역(13.9점)에서 전국 평균(8.8점)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다.
서울은 국공립 보육시설 설치비율이 가장 높았고, 육아휴직 사용이나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사용 사업장 비율도 다른 지자체보다 높아 제도 영역에서 가장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노동부는 조사 결과를 각 시·도에 보내고 일·생활 균형 문화 확산을 위한 지역 차원의 노력을 촉구할 계획이다.
한편 노동부는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에 위탁해 일과 생활, 제도, 지자체 관심도 등 4개 영역, 24개 지표를 통해 각 지역 근로자들의 일·생활 균형 수준을 조사해 2017년부터 매년 발표하고 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