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리가 급격히 치솟으면서 가계가 대출을 갚고 신규 대출을 줄인 영향으로 분석된다. 반면 정기예금에는 역대 가장 많은 돈이 몰렸다.
한은이 12일 발표한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058조1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2조6000억원 줄었다. 연간 가계대출이 감소한 것은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4년 이후 18년 만에 처음이다.
1년 동안 주택담보대출(전세자금대출 포함)은 20조원 늘었지만,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이 22조8000억원이나 급감했다.
황영웅 한은 시장총괄팀 차장은 “금리가 높아진데다 가계대출 관련 규제도 지속되면서 가계대출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올해 전망에 대해서는 “금리 인상과 규제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가계대출 안정세가 유지될 것”이라며 “다만 부동산 관련 규제 완화의 효과는 적극적으로 모니터링하겠다”고 답했다.
하지만 은행 기업대출(작년 12월 말 잔액 1170조3000억원)의 경우 지난해 104조6000억원 불었다. 증가액이 2021년(89조3000억원)보다 15조원 이상 많을 뿐 아니라, 코로나 발생 첫 해인 2020년(107조4000억원)과 비슷한 규모다.
은행의 수신(예금·작년 12월말 잔액 2243조5000억원)은 지난해 107조4000억원 늘었다.
정기예금이 200조1000억원이나 급증한 반면 수시입출식예금에서는 104조9000억원이 빠져나갔다. 자금이 금리가 높은 정기예금 쪽으로 이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정기예금 증가 폭(200조1000억원)은 2002년 통계 작성 이후 20년 만에 최대 기록이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