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시에 따르면, 원전해체연구소 건설 사업을 중심으로 원전해체 기술 개발 사업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시와 부산시, 한국수력원자력 등은 지난해 10월 울주군 서생면 명산리와 기장군 장안읍 효암리 일원에서 원전해체연구소 건립에 들어갔다. 사무동과 연구동 등 1단계 일반시설은 2024년 9월, 실증시험동과 방사화학분석동 등 2단계 방사선관리시설은 2025년 7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프라 구축과 함께 연구소에 들어가는 장비 구축과 관련된 정부의 지정 과제는 4월께 공모에 들어간다.
연구소의 핵심인 기술 개발 역시 본격적인 수순을 밟고 있다.
지난해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R&D 사업인 ‘원전해체 경쟁력 강화 기술 개발 사업’은 이번 주 중에 에너지기술평가원이 사업자 공모에 들어갈 전망이다. 이 사업에서는 원전 해체와 관련된 혁신 기술의 공학적 시험·검증을 위한 연구 개발, 지능형 운용·정비 등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한다.
총 사업비가 3482억원에 달하는 데, 공모에 선정될 경우 지역 학계 등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이 가능해 파급 효과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시는 UNIST를 중심으로 한국화학연구원, 한전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KINGS) 및 관련 기업 등과 연계해 공모에 도전한다는 계획이다.
원전해체 기술 개발 사업과 달리 신규 원전 기술 개발 사업은 올해 사업이 전면 중단된 상태다.
UNIST 연구팀은 2019년부터 지난해 연말까지 4년에 걸쳐 4세대 납냉각고속로 방식 SMR에 대한 개념설계를 완료했다. 이후 올해부터 2단계 사업인 표준설계 및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 사전 인허가 절차 이행을 진행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2단계 사업은 예산 문제로 올 스톱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3년 1차 부처 예산안에 납냉각고속로 방식의 SMR 사업비를 반영했지만 기재부 제출 과정에서 전액 삭감했다. 시는 예산 확보를 위해 국회 증액에 사활을 걸었지만 이마저도 불발됐다.
국비 미확보로 사업이 전면 중단되면서 연구진 이탈이 우려되고 있다. 이 사업은 UNIST는 물론 서울대·KAIST 등이 팀을 구성해 연구를 진행 중이다. 그러나 연구비가 없어 석박사급 인력의 이탈은 물론 실험실 유지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황일순 UNIST 교수는 “사업비를 확보하지 못한 만큼 올해는 연구진을 최대한 관리하는 수준으로 버티면서 내년 예산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2월부터 중앙 부처를 상대로 조기에 예산 확보전에 나서 내년부터 사업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