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부터 소나무재선충병 확산세가 이어지면서 방재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방재 예산이 크게 줄어든 가운데 피해목 후처리인 훈증더미 처리가 발등에 불이 돼 지자체의 고심이 깊다.
31일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겨울철 가뭄 등으로 소나무재선충병 피해목은 지난해 4월 기준 약 38만그루, 전년 동월 대비 23% 증가했다.
울산도 소나무재선충병이 지난 2015년 이후 지속 감소했으나 지난해 3만3000그루가 피해를 입으며 6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소나무재선충 피해등급은 경미(1000그루 미만), 경(1000~1만그루), 중(1만~3만그루), 심(3만~5만그루), 극심(5만그루 이상) 등 5단계로 나뉘는데, 북구와 울주군은 지난해 ‘중’ 단계까지 격상했다.
산림청은 올해 약 78만그루의 재선충병 피해를 예상하며 대규모 재유행을 우려했다. 지자체로선 재선충 피해목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훈증더미 처리 문제에 직면했다.
소나무재선충이 발생하면 감염 억제를 위해 벌채를 하고 파쇄, 훈증 등의 처리를 거친다. 피해목 이동이 가능한 지역에서는 파쇄를 하지만 피해목 이동이 어려운 지역에서는 나무를 절단해 살충제를 뿌리고 피복(비닐)을 덮어 밀폐하는 ‘훈증’ 처리를 거친다.
울산시는 지난 2019년부터 훈증더미 제거사업을 추진하고 있었으나, 산림청 소관인 산림병해충방제 사업 국고보조금 지원이 축소되며 처리 예산이 부족해졌다.
실제 지난해 산림청 재선충병 방제예산은 전체 560억원으로 5년 전인 지난 2017년보다 31% 가량이 줄었다. 울산시도 소나무재선충병 처리를 위해 지난 2021년 국비 약 60억원을 지원받았으나 지난해는 40억원으로 줄었다.
지자체는 교부받은 예산으로 우선 소나무재선충 방제를 진행한 후 남은 예산으로 훈증더미 처리에 나서야 하나 예산 부족으로 여의치 않다.
울산은 지난 2021년 훈증더미 5만여개를 설치하고 1만여개를 제거했지만, 예산이 줄어든 지난해는 훈증더미 4만2000여개 설치에 1373개 제거에 그쳤다. 매년 5만여개씩 훈증더미가 설치되고 있으나 제거는 턱없이 부족해 훈증더미가 지속 쌓이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훈증더미는 수분 함량이 적고 연소열은 높아 화재 발생 시 진화를 더디게 하며 산림경관훼손 등의 문제로 사후관리가 필수적이여서 정부 차원의 지원 확대 목소리가 높다.
지자체 관계자는 “현재 전체 훈증더미의 정확한 수치를 파악하기도 어려워 산림청에서 훈증더미에 QR코드를 등록하는 등 시도를 하고 있다”며 “올해 상반기까지 울산 전체 11만여그루를 우선 제거할 예정이며 훈증더미도 예산 확보 후 차츰 제거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