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부지를 확보할 경우 실시 종합 계획을 수립해 해양수산부 공모사업에 신청하겠다는 입장인데, 울산만의 차별화된 콘텐츠로 사업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0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19년 3월부터 2020년 5월까지 울산 수산자원연구소 건립 타당성 검토 용역을 진행했다.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비 195억원을 들여 부지 2만㎡, 건축 3600㎡ 규모로 연구소를 지어 양식산업 경쟁력 강화 연구, 양식 신품종 개발 등을 실시할 계획이었다.
전담 연구소가 설립되면 울산 앞바다에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는 백화현상(바다 사막화) 대응력 강화와 울산 수산산업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 지역 어업 경쟁력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문제는 마땅한 부지가 없다는 것이다. 당초 시는 울주군 서생면 일대를 1순위 후보로 두고 검토했으나 토지 매입비가 비쌌고 동구, 북구도 마찬가지였다. 시는 국가 부지를 활용하는 방안도 논의했으나 연구소를 설립하기에는 여건이 좋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만약 부지를 확보한다해도 해수부 양식기술 기반 구축 사업 신청과 선정까지 시일이 걸릴 전망이다. 울산 수산자원연구소만의 차별화된 콘텐츠로 경쟁력을 확보해야 선정에 유리하다.
시에서도 이를 인지하고 양식산업 강화 연구, 양식 신품종 개발 외에도 해양 자원을 활용, 해양 치유 자원과 보건 의료를 연계한 해양 헬스케어를 연구소에 포함시키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울산과 인접한 부산, 경남 등은 이미 수산자원연구소를 보유해 수산생물의 안전성 조사, 질병 관리 등 자원연구와 관련 행정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반면 울산은 해당 업무를 지자체에서 처리하다 보니 지구 온난화에 대비한 해양 환경 연구, 수산물 안전성 확보 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연구소가 설립되면 내부 조직이 울산시 부서로 포함되기 때문에 부서 개편도 필요하다.
시 관계자는 “울산만의 경쟁력을 확보해 종합 계획을 세운다면 해수부 공모사업은 무난하게 통과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도 “결국 부지 확보가 관건인데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시기를 가늠하기 어렵다”고 밝혔다.
박재권기자 jaekwon@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