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27)씨는 경기도에서 직장과 40분 떨어진 오피스텔을 구해 보증금 8000만원에 월세 80만원을 내며 출·퇴근하고 있다. 점심은 회사에서 제공되지만 최소한으로 절약해도 교통비 등 생활비만 매달 60만원은 족히 나간다. 보증금 비용 일부는 대출을 받아 월급을 받으면 대출 이자를 갚기 바쁘다. 직장 동료와 회식·약속이 잦은 달에는 20만~30만원의 추가비용이 발생한다. B씨는 “부모님이 계시는 울산으로 내려가 주거 등 기본 부대 비용을 아끼는 게 나을 거 같다”고 말했다.
취업준비생은 타지 거주 생활비에 자격증 시험 비용 인상까지 부담으로 작용하면서 본가로 들어오기도 한다.
고물가에 고향의 부모품으로 돌아오는 ‘리턴(return)+캥거루’를 합친 리터루족의 이야기다.
이처럼 직장과 인프라 등을 찾아 수도권 등 타지로 나갔다가 울산으로 재귀향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물가부터 가스, 전기 등 공공요금의 줄지은 인상으로 가계 부담이 커지면서 독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20~30대 1인 가구는 가장 먼저 OTT 등 모바일 플랫폼을 끊고 부수적인 취미를 줄여 지출을 최소화하고 있다. 단체 대화방에서는 적금 금리 5% 이상 은행을 공유하는 등 대화주제도 바뀌었다는 설명이다. 부모가 먼저 귀향을 권하기도 한다.
하지만 청년들은 주거난을 피해 고향에 돌아와도 마땅한 일자리가 없다고 설명한다. 타 시·도 대비 희망일자리 연봉·복리후생 수준의 차이도 걸림돌로 작용한다.
청년 일자리는 부족하고 관련 인프라도 충분치 않아 정착을 두고 또다른 고민에 빠진다는 것이다.
21일 2021년 울산시 사회조사에 따르면 울산 내 취업 희망 청년은 46.2%다. 이 중 64.6%가 ‘거주지 근처에서 일하고 싶어서’를 선택했다. 지난 2020년 7월 기준 울산지역 전체 구직자 대비 34세 이하 구직 신청 건수는 10.6%로 7대 특·광역시 중 부산과 함께 가장 높았다. 같은 시기 경제활동 참가율은 51.6%로 7대 특·광역시 중 가장 낮았다.
이에 정책적 지원과 더불어 울산 자체 사업과 청년 지원 활성화 필요성이 대두된다. 사회지원책에 대한 세밀한 검토를 통해 정착 이후 과정까지 아우를 수 있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강민형기자 min007@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