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에서도 매년 위기 청소년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고위기 청소년 발굴·지원에 실효성을 보이고 있는 ‘청소년 안전망팀’의 확대 운영 필요성이 높게 제기되고 있다.
22일 울산 지자체에 따르면 여성가족부 주관 ‘청소년 안전망팀’ 사업은 지자체가 전담 공무원, 청소년통합사례관리사와 함께 위기청소년 발굴, 지원기관 연계 등의 업무를 진행하는 사업이다.
전국적으로 22곳의 지자체에서 운영되고 있으며 울산은 남구가 지난 2020년, 북구가 2021년 청소년 안전망팀을 구축했다.
울산은 매년 위기 청소년이 증가 추세다. 울산시일시청소년쉼터에 따르면 지난해 울산 거주 청소년 중 50.1%가 가출 충동을 느꼈으며 특히 신종코로나 이후 지난해 울산지역 학생의 자살이나 자해 건수는 전년 대비 18% 가량이 증가했다. 자살위험군 분류 학생도 매년 200명 이상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청소년 안전망팀의 확대 구축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 남·북구의 청소년 안전망팀이 매년 50~70명에 가까운 위기청소년들을 발굴하는 등 효과적인 청소년 사회안전망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평가다.
그간 지자체에서 위기 가구를 발굴하는 지원책은 있었으나 위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 체계는 전무했다.
청소년 안전망팀은 국·시비 등을 지원받아 지자체가 1억원의 사업비로 위기 청소년을 발굴한다. 특히 경찰, 동 행정복지센터, 학교상담센터 등이 직접 위기 청소년을 추천하면서 복지 사각지대 놓인 위기 청소년 지원에 효과적이란 목소리가 높다.
북구 안전망팀 관계자는 “무엇보다 국비를 지원받다보니 의료비 등 지원금액이 넉넉해 사업 효과가 높다”고 밝혔다. 정혜윤기자 hy040430@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