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정기가 지나 길고양이 중성화(이하 TNR) 사업이 시작되면서 예산낭비만 초래할 것이라는 지적이 일고 있다. 늦은 사업 시행으로 길고양이 개체수 증가가 예상돼 관련 민원도 크게 늘어날 것이란 우려다.
27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오는 3월2일부터 길고양이 중성화 지원사업이 시행된다. 하지만 고양이 발정기가 시작되는 2월을 지나 사업을 시작한데다 새끼를 밴 고양이는 TNR을 할 수 없어 사후약방문식 정책이 돼버렸다는 지적이다.
올해 TNR사업이 늦게 시작한 이유는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림부)의 지침이 지난 23일에야 내려왔기 때문이다. TNR 사업은 국비보조사업이기에 정부 지침을 따라야 한다. 이로 인해 사업을 지자체 임의대로 미리 시작하거나 수정할 수 없다.
그간 TNR 사업은 늦어도 2월 중순에는 시작했지만, 올해는 농림부 지침이 늦게 내려오면서 사업시작의 적절한 타이밍을 놓친 것이다. 이를 두고 현장에선 올해 ‘아깽이 대란’ 또는 ‘고양이 민원 폭주’를 우려하고 있다.
울산의 올해 TNR 사업 예산은 국·시·구비 포함 4억5000여만원이 편성됐고 사업 추진 경과에 따라 추가 예산 반영이 될 수 있다. TNR 예산은 지난 2021년 1억5560여만원에서 2022년 4억200만원 등으로 큰 폭 증액되고 있다.
울산시는 TNR로 2021년 1505마리, 2022년 2221마리의 길고양이를 중성화시켰고 2023년 2025마리 중성화를 목표(본보 2023년 2월6일자 7면)로 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길고양이 TNR 사업은 길게 봐야 하는 사업인데 정부 담당자가 계속 바뀌면서 정책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며 “이미 중성화사업 계획을 짜 둔 상태여서 지침이 내려오자마자 확인 후 곧바로 사업을 개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신동섭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