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시장은 2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여러 차례 시 차원의 해명이 필요하다는 언론의 요청이 있었지만 시가 논란의 중심에 서고 싶지 않아 인터뷰를 거절했다”며 “김 의원이 수사를 의뢰한 만큼 사법당국이 시에 자료를 요청할 것이고, 특정 언론에만 자료를 제공하느니 공식적으로 공개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해 기자회견을 열었다”고 취지를 밝혔다.
김 시장은 우선 도로 개설 사업의 추이를 설명하면서 김 의원이 KTX울산역 유치에 따른 반사 이익을 누리기 위해 인근 부지를 매입했다는 의혹을 정리했다. 김 시장은 구수리 부지를 김 의원이 매입한 것은 1998년이며, 당시는 KTX울산역 개설 자체가 계획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KTX울산역 유치를 위한 시민연대 창립 시점이 1997년 9월이었을 뿐, KTX울산역 설치 확정은 2004년 9월이었다.
김 시장은 “삼동~KTX울산역 연결 도로 개설은 울산하늘공원 유치에 따라 삼동 주민들이 요구한 인센티브 사업이었다”며 “이 사업은 삼동 주민과의 약속을 이행하기 위해 추진되는 사업이지 특정인을 염두에 둔 사업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김 시장은 도로 노선 변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처음 도로 노선을 계획한 것은 2008년께였고 당시에도 김 의원 소유 부지가 일부 포함돼 있었는데, 노선 결정은 여러 안 중에 지형 등 요소를 두루 감안해 결정했다는 것이다. 또 토목 기술 발전에 따라 2019년 다시 노선을 검토했고, 최대한 직선 노선을 검토한 게 현재의 노선안이며, 이 과정에서 김 의원의 부지는 여전히 일부가 포함된다는 게 김 시장의 설명이다.
특히 김 시장은 현재의 노선안이 결정된 것은 민선 7기 송철호 시장 당시로, 행정안전부 산하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투자사업관리센터가 세 가지 노선 중 가장 직선 노선을 선택한 결과라고 강조했다.
도로 개설로 인한 김 의원의 반사 이익은 기대하기 어렵다는 게 김 시장의 입장이다. 김 의원 소유 부지의 지하로 터널이 연결되고 주변에는 연결도로를 개설할 계획도 없어, 김 의원의 부지는 여전히 맹지로 남아있다는 것이다. 현재 노선은 실시설계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최종 확정되는데, 타당성 조사 당시 제시된 노선을 크게 벗어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또 인근에 대암댐이 있고, 해당 부지 역시 농림보전지역이어서 개발에 극히 불리하게 작용하는 만큼 도로 개설로 김 의원이 이익을 챙겼다는 이의 제기는 포인트가 어긋났다고 지적했다.
막대한 시세 차익과 관련한 의혹에 대해서는, 1998년 매입 당시 지가는 ㎡당 300~400원선이고 지금은 1200~2000원 정도로 주변 토지와 비슷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김 시장은 “지난 2021년 민주당 시의원 10명으로 구성된 행정사무조사 특위가 7차에 걸쳐 조사를 실시했지만 뚜렷한 문제를 발견하지 못하고 종결했다”며 “이미 시의회 차원에서 꼼꼼히 검토한 만큼 의혹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