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와 울주군이 온양읍·온산읍·서생면·청량읍·웅촌면 등 울주 남부권에 10만 신도시 조성을 목표로 개발에 시동을 건 가운데, 웅촌지역 주민들이 개발에 대한 소외감 등을 표출하며 균형 발전을 촉구하고 있다. 주민들은 수용이 안될 시 인근 경남 양산시로의 편입을 다시 요구하기로 해 주목된다.
6일 군과 웅촌면 이장단협의회 등에 따르면 웅촌면 이장단협의회(회장 박선후) 소속 이장 27명 전원이 최근 ‘웅촌면민 청원서’를 작성한데 이어 이달 중 울산시를 비롯해 경남도, 울주군, 양산시, 대통령실, 국회, 정부 관계부처 등에 보낼 예정이다.
이들은 청원서에서 “울산이 광역시 승격 이후 26년이 흘렀고 비약적으로 발전했으나 웅촌은 그 때 당시와 비교해 발전은커녕 낙후돼 인구는 줄고 젊은 사람들은 빠져 나가고 있다”며 “이에 따라 인구 유입을 위한 도로 개설 확충과 함께 임대주택 건설 등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특히 과거 웅촌과 같은 형제 지역인 웅상은 1980년에 1만1000여명으로 웅촌과 비슷했는데 이제는 10만명이 넘는 거대 도시로 발전해 비교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광역시 승격 당시 울산에 편입을 한 게 후회스러울 정도다”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실제 1980년대 1만명을 웃돌던 웅촌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3년 8700여명, 올해는 7665명으로 7000명대로 떨어졌다. 울주 관내 12개 읍·면 중 9번째로 적은 수치다. 또 웅촌면 인구의 절반 가량이 60대 이상으로 고령층 비중이 높다.
반면 인근 양산 웅상지역(서창동, 소주동, 평산동, 덕계동)은 개발이 가속화 되면서 인구가 10만여명으로 양산 전체인구 35만여명의 3분의 1 가량이 거주하고 있다.
웅촌 주민들은 지난 1995년 울산이 광역시 승격에 앞서 울산시와 울산군(현 울주군)이 통합했을 때 반대하며, 당시 경남 양산 웅상읍으로 편입을 요구한 바 있다. 1995년 이후 28년만에 다시 양산으로 편입을 요구한 셈이다.
박선후 웅촌면 이장단협의회장은 “울산시의 남부권 신도시 개발도 실질적으로는 웅촌보다는 청량지역에 집중돼 있다”며 “웅촌지역에 도로 개설과 확충, 임대주택 건설 등이 시급히 이뤄지지 않을 경우 양산으로 편입을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현재 웅촌을 포함한 남부권 신도시 개발을 위한 용역이 진행중이며, 어떤 특정한 지역을 염두에 두고 하지는 않는다”며 “또한 필요한 도로는 연차별 계획에 따라 개설이나 확장 등이 이뤄지며, 임대주택 건설 등도 신도시 개발에 포함돼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