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공항 존폐 논란이 인 뒤 1년여가 지났지만 장고에도 뾰족한 묘수는 나오지 않았다. 울산시는 용역 결과를 토대로 현재 상태에서 울산공항이 도심 속 공항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시는 7일 울산공항 활용 방안 연구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었다.
울산공항 존폐 논란은 민선 7기 송철호 시장이 지난 2021년 9월9일 ‘울산 교통혁신 미래비전’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울산공항의 미래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화두를 던지면서 촉발됐다. 이후 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채 지난해 3월 용역을 발주했고, 1년 만에 용역을 완료했다.
용역에서는 이전, 확장, 현실 가능한 대안 등 총 3가지 방안이 도출됐지만 모두 이행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 폐항 후 울산공항 부지를 개발하자는 방안은 도심 공항이 필요하다는 의견에 따라 사실상 고려 대상에서 제외됐다.
우선 이전과 관련해서는 북구 당사, 울주군 언양, 경주 내남 방면 2곳 등 총 4곳의 후보지가 발굴됐다. 이전 비용은 2조원가량으로 추정됐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공항 이전은 불가능하다는 게 중론이다. 부산이 가덕도신공항, 대구가 대구경북통합신공항을 추진하고 있는 만큼 울산에 새로운 공항을 신설하는 것은 활용도가 극히 낮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도심에서 시 외곽으로 공항이 이전할 경우 접근성이 떨어지는 만큼 이용객이 더 줄어들 수 있다는 문제도 제기된다.
두 번째 방안인 확장은 이착륙 과정에서의 안전성 강화를 위해 활주로 길이를 현행 2000m에서 500m 연장해 총 2500m로 늘리는 방안이 제시됐다. 이는 대형 항공기를 취항시켜 울산공항의 활용도를 높이자는 취지이지만 역시 다양한 문제가 돌출된다.
활주로를 연장할 경우, 기존보다 먼 거리에서 고도를 낮춰 접근해야 하는데, 착륙 과정에서 공항 남북측 아파트의 상층부가 항공기 동선과 겹칠 수 있는 만큼 일부 절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동천을 매립하기 위해 선형을 변경하거나, 도로를 이설하는 등의 작업도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 사업비만 수천억원이 소요되는 만큼 이전만큼이나 가능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나마 실현 가능한 방안은 진장동 방면인 남측 활주로를 100m가량 확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 역시 착륙 시 항공기의 고도 문제로 대부분의 착륙이 이뤄지는 남쪽에서는 활용이 불가능하다. 다만 북쪽인 호계동 방면에서 착륙할 경우 확장한 거리만큼 안전거리가 100m 늘어나는 효과가 발생한다.
소요 예산이 400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경제성은 낮은 것으로 분석돼 시는 국토교통부 건의를 놓고 고심 중이다. 시는 울산공항의 이용률이 높아질 경우 경제성이 향상돼 활주로 일부 연장 방안을 건의하면 실현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계산하고 있다.
김두겸 시장은 “용역 결과 이전도 확장도 쉽지는 않은 상황”이라며 “현시점에서는 울산공항이 도심공항으로서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안전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활용을 모색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