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주군 태화강생태관은 한국수산자원공단과 공동 연구 중인 ‘2022년 태화강 연어자원증강 및 보존연구 사업’을 통해 지난해 태화강 회귀연어 이석 분석결과를 8일 발표했다. 조사에서는 지난해 태화강으로 회귀한 어미연어를 대상으로 이석무늬를 분석해 연령 분포와 최초 방류지를 분석했다. 이석은 연어의 귓속뼈로, 수정란 부화 과정에서 수온을 조절해 생기는 고유 무늬를 통해 출생지와 나이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지난해 태화강으로 회귀한 태화강산 연어는 3세 개체 68.3%, 4세 18.3%, 2세 13.3% 순으로 집계돼 3년만에 돌아온 연어가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태화강 회귀연어 중 이석무늬가 확인된 개체는 48%로, 이석무늬를 가진 개체 중 절반 이상인 58%가 태화강에서 방류된 연어로 확인됐다. 이밖에 강원도 연안에서 포획된 해면연어 중에서 태화강산 연어가 발견되기도 해 향후 연어의 모천으로서의 지위권을 주장할 근거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차형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