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 해외사절단은 첫 일정으로 지난 10일 태국 방콕에 위치한 유엔식량농업기구(FAO) 아시아태평양지역사무소를 방문했다.
시 해외사절단은 김종진 FAO 아태지역 대표와의 면담을 통해 기아 퇴치, 개도국의 농업 및 농촌 개발 지원,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울산의 역할과 FAO와의 협력 강화 방안 등을 협의했다.
FAO는 글로벌 성공 사례로 꼽히는 울산의 환경 생태 분야 협력 사업의 확대와 함께 디지털 혁신이 개발도상국의 농업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도록 울산의 역할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적인 석유화학공업단지를 가진 시가 WHO 회원국의 1인당 도시숲 평균 보유 면적의 2배에 달하는 도시숲은 가진 점을 인상 깊게 평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FAO는 태화강국가정원과 울산대공원에 대해 지방 정부와 시민, 기업과 지방 정부가 협력해 조성한 독특한 사례라고 덧붙였다.
FAO는 시의 도시숲 조성 모델을 개발도상국 등에 적용할 경우 산업 발전을 도모하면서 환경도 보전하는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FAO는 시의 도시숲 조성 모델을 ODA(공적개발원조) 협력 사업으로 구체화하는 움직임도 본격화하고 있다.
대한민국 ODA 사업을 주도하고 있는 코이카(KOICA)와 협력하고 있는 울산개발협력센터는 태화강국가정원과 울산대공원의 도시숲 조성 사례를 지역 대학 등과 연계해 ODA 협력 사업으로 추진하기 위한 절차를 밟고 있으며, 현재 일부 사업은 성사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시 대표단 박철민 국제관계대사는 “울산은 대한민국 최대 공업도시에서 생태환경 도시로 성공적으로 전환한 유일한 도시이자, 세계보건기구가 권고하는 1인당 생활권 도시림 면적이 가장 넓은 지역”이라며 “울산의 ODA 자원을 활용해 경제 규모에 부합하는 원조를 통해 국제개발 협력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울산시 해외사절단은 이날 ‘유플라이(U FLY, Ulsan For InternationaL Youth) 사업으로 FAO에서 실습생으로 근무하고 있는 울산 청년 손어진씨를 만나 격려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