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16일 시청 기자실에서 국가첨단산업벨트 조성을 위한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 미선정과 관련한 브리핑을 열고 향후 대응 방안을 설명했다.
우선 시는 신규 국가산단 추가 지정을 위해 국토부와 협의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시는 신규 국가산단 개발 대상 부지를 발굴하고, 내부 조율을 통해 대상 첨단산업 선정도 추진해 국토부를 설득하기로 했다. 비수도권 광역시 중 울산과 함께 유이하게 선정에서 탈락한 부산과도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또 신규 국가산단 추가 지정과 함께 현재 진행 중인 신산업 육성 전략을 지속 추진해 실리를 챙긴다는 투트랙 전략을 수립했다.
이를 위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 온산국가산단 확장, 장현도시첨단산단 조속 조성, 도심융합특구 지정 등을 위해 국토부 및 관계 부처와 적극 협의에 나선다. 또 하이테크밸리 일반산단의 삼성SDI 이차전지와 미래차 등 기존 산단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배후단지를 확보하는 데도 중점을 두고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시는 온산국가산단을 159만㎡ 확장하면 수소산업의 성장동력을 강화하고, 하이테크밸리산단 3단계 사업을 통해 40만㎡를 추가 확장할 경우 삼성SDI의 이차전지·미래차 부품 투자 계획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신규 산단 후보지 지정 탈락은 아쉽지만 울산의 미래 성장동력 강화에는 차질이 없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한편 시는 정부의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 과정에서 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은 이유도 설명했다.
당시 발송된 공문에는 ‘대선 과정에서 지자체가 요청한 신규 국가산단의 실현 가능성 등을 검토해 후보지로 선정하기 위한 연구 용역을 시행 중이다. 이와 관련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 신청 제안서 작성 및 평가 관련 사항 등을 설명하고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설명회를 개최한다’고 명시돼 있었다. 시는 대선 공약에 반영된 사업이 없어 지난 대선에서 건의한 지역으로 입지를 제한하는 것으로 판단, 별도의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고 설명회에도 참석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춘봉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