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는 28일 세종시 국책연구단지에서 국토교통부와 ‘2023년 드론 실증도시 구축 사업’ 공동 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이 사업은 국토부 항공안전기술원 주관으로 지난 2월부터 공모로 진행됐다. 전국 약 40개 지자체가 응모해 울산, 서울, 인천, 제주 4개 특·광역지자체와 김천, 전주, 성남 등 11개 기초지자체가 선정됐다.
선정된 지자체는 공동 협력 협약에 따라 오는 4월부터 11월까지 8개월 동안 지자체별 특성에 맞는 드론 활용 모델을 실증하고 결과물을 적극 공유하기로 했다.
울산은 ‘울산형 재난 안전도시 구축’을 목표로 5가지 세부 사업을 실시한다. 주요 실증 사업은 △원전 사고 대비 50㎏ 고중량 방호장비 배송 △고도별 방사능 측정 모니터링 △비인가 군집 드론 테러 대응 전파 방해 드론 실증 △신고 앱·관제센터 연동 영남알프스 조난자 수색·구조 등이다. 또 이를 통합 제어할 수 있는 재난 안전 초연결 인공지능(AI) 관제 체계의 고도화 작업도 수행한다.
시는 국비 10억원 등 총 16억원을 투입해 울주군 서생면 원전 인근과 청량읍·상북면 드론 특별 자유화 구역 등에서 사업을 추진한다.
시 주관 아래 울주군, 울산정보산업진흥원, SK텔레콤, 볼로랜드, 에이엠피, 엠엠피, 에어로리서치, 프리뉴, 제노소프트 등 총 10개 기관·기업이 참가한다.
시는 이번 사업의 필요성과 수요처가 확실한 만큼 실증 결과에 따라 현장에 즉시 적용해 조기 상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드론 산업이 시 역점 사업인 도심항공교통(UAM) 사업의 기반이 되는 만큼 관련 사업 추진에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울산시 관계자는 “드론 실증도시 선정으로 그간 축적한 드론 산업 기반과 운용 능력을 인정받았다”며 “드론을 활용해 안전 사각지대가 없는 울산을 만들고, 나아가 도심항공교통 선도 도시까지 올라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