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복지공단, 빅데이터 기반 산재노동자 재활 지원시스템 도입
상태바
근로복지공단, 빅데이터 기반 산재노동자 재활 지원시스템 도입
  • 차형석 기자
  • 승인 2020.02.12 00:2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근로복지공단(이사장 심경우)은 산재노동자가 일터에 복귀할 수 있도록 산재보험과 고용보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재활서비스를 추천하는 ‘지능형 재활 지원시스템’을 도입했다고 11일 밝혔다.

 ‘지능형 재활지원시스템’은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9년 ICT기반 공공서비스 촉진사업’ 과제로 선정돼 고용노동부와 근로복지공단이 주관해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인공지능(AI)이 산재보험과 고용보험 빅테이터를 기반으로, 산재노동자의 나이 및 상병, 상병부위, 장해정도, 직종, 고용형태, 임금 등을 분석해 직업복귀 취약 정도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연간 11만여명의 산재노동자에게 직업복귀에 필요한 서비스를 추천해 지원하게 된다.

 기존에는 산재노동자와 상담을 통해 상병 및 심리상태, 고용형태 등을 고려해 공단 직원이 직접 필요한 재활서비스를 판단했다. 인공지능 도입 후에는 ‘지능형 재활지원시스템’의 추천을 통해 적기 개입과 서비스 품질을 제고해 최적의 직업복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심경우 이사장은 “‘지능형 재활지원시스템’ 도입으로 68.5%였던 작년의 산재노동자 직업복귀율을 올해에는 선진국 수준인 70%대로 견인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차형석기자 stevecha@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 부동산 시장 훈풍분다
  • 2025을지훈련…연습도 실전처럼
  • 국정기획위원회,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어떤 내용 담았나
  • “울산부유식해상풍력 공적 투자 확대를”
  • 한미 조선협력 ‘마스가 프로젝트’ 울산서 시동
  • [현장&]울산 곳곳에 길고양이 급식소 ‘캣맘 갈등’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