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문화 - 반딧불이](17) 김진완무용단
상태바
[울산의 문화 - 반딧불이](17) 김진완무용단
  • 전상헌 기자
  • 승인 2023.09.14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2015년 만들어진 김진완무용단은 전통춤의 명맥을 이으며 관객이 즐길 수 있는 공연을 펼치는 울산시전문예술·법인단체다. ‘춤으로 빛나는 아름다운 울산’ 공연 장면.
▲ 김진완무용단의 ‘환타지 처용아리’ 공연 장면.
무용을 전문적으로 하는 인원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무용인은 말할 것도 없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15년 울산의 춤꾼들이 함께 모여 전통춤의 명맥을 잇기 위해 김진완무용단을 만들고 부단한 노력을 했다. 김진완 대표와 하은정, 김은주, 김채은, 배주희, 이혜주, 지민주, 김은지, 윤현정, 박은화 등 단원은 공연마다 조금이라도 향상된 춤사위를 보여주기 위해 구슬땀을 흘리며 연습하고, 색다른 연출을 가미한다.

특히 울산의 마지막 예인 ‘전화앵’을 비롯해 태화강에 핀 뜰 꽃 ‘자란’, 아름다운 남자 ‘박제상의-붉은 눈물’, 처용 시리즈 ‘탈속의 인물 처용’ ‘처용의 눈물’ ‘처용아리’ ‘환타지 처용아리’, 울주의 ‘베리 끝 애화’, 반구대 암각화 스토리 ‘소리 없는 외침, 암각의 숨결’, 울산의 4경과 함께한 ‘울산의 하루’ 등 울산의 인물·설화·자연에 스토리텔링을 입혀 창작무용을 탄생시켰다. 게다가 관객을 기다리지 않고, 공연이 필요한 곳이라면 언제든 찾아가 무대를 펼쳤다.

이런 노력으로 지난 2020년 울산시전문예술·법인단체로 지정받고, 울산의 춤꾼들이 아름다운 전통춤으로 울산을 잘 담아낼 수 있는 작품 제작에도 나섰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김진완무용단의 대표작 태평성대와 왕의 춤을 시작으로 예기무, 부채입춤, 한량무, 장구춤, 쟁강춤, 시나위춤, 소고춤, 버꾸춤, 부채춤, 입춤 등 궁중·전통·민속·신무용까지 ‘2020춤으路(로)’ ‘2021춤으路 하나 되는 울산’ ‘2022춤으路 빛나는 아름다운 울산’ 등으로 이어지는 시리즈다.

울산을 담아낸 것과 함께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점은 관객이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순수예술이 K-POP, 아이돌, 실용댄스, 트로트에도 밀려나고 있는 현실 속에서 관객이 없으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생각에서다. 다만, 김진완무용단의 공연은 ‘우리 춤’을 근간에 두고 관객이 즐길 수 있도록 화려한 조명, 신나는 음악, 무용수의 테크닉, 드라마틱한 연출이 가미된다는 것이 큰 차이다.

무용단 김진완 대표는 “전통춤이 대중예술에 밀려 소외되는 듯한 기분에 아쉬움이 들지만, 전통의 맥을 이어가는 젊은 무용수의 움직임으로 임팩트 있는 창작작품을 만드는 것이 무용단의 소임이라 생각한다”며 “울산 예인의 춤이 풍성해지고, 전통춤의 새바람이 일어나 우리 춤에 즐거움을 느낄 수 있도록 김진완무용단이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전상헌기자 honey@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수행평가 민원 시달리던 울산 교사 숨져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