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철호 시장은 9일 브리핑에서 “향후 1~2주가 코로나19 확산 차단의 고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사회적 거리두기’와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는 코로나19를 막는 ‘제1의 백신’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울산시는 지난 6일부터 8일까지 150명을 동원, 요양병원과 아동시설 등 1134곳의 사회복지시설에 대해 현지 특별점검을 했다. 그 결과 현재까지 감염 사례는 전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송 시장은 한걸음 나아가 이날 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간 식당을 찾아 청정 인증 마크를 발급하는 등 얼어붙은 지역 상권 살리기에 함께 동참하자고 당부했다.
그러나 김강립 중대본 1총괄조정관은 9일 브리핑에서 “코로나19 확산이 다소 진정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 호전되고 있다고 전망하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김 조정관은 “대구·경북 이외 지역은 빠른 확산 경향은 보이고 있지 않지만 산발적인 감염 사례가 계속 발생하고 있어 한시라도 긴장의 끈을 놓칠 수 없는 엄중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 가운데 지난 8일 방역 고위당국자는 샴페인을 너무 일찍 터뜨리는 듯한 발언을 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환자 수가 많은 것이 역설적으로 방역 역량의 우수성을 증명하는 것으로 우리 방역 사례가 세계의 모범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총선을 앞둔 시점에 미묘한 뉘앙스를 풍기는 발언은 삼가는 것이 철칙이다. 최근 정치권 안팎에서 방역 성과와 관련해 정치적 의도가 뻔히 보이는 주장을 하는 인사들이 적지 않다.
울산은 최근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근로자의 감염과 삼남면 이손요양병원 간호사의 감염 등 큰 위기를 겪었다. 방역당국의 노력으로 수습되기는 했지만 언제 어디서 집단감염 사태가 불거질지 아무도 알 수 없는 상태다. 방역당국은 악전고투하고 있는데 정치권은 벌써부터 열매를 따먹으려 한다면 이번 방역작전은 백전백패일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