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시와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바이오 특화단지 공모에는 수도권 5곳(인천·수원·고양·성남·시흥)과 비수도권 6곳(충북·대전·강원·경북·전남·전북) 등 총 11개 지자체가 신청했다.
앞서 산업부는 바이오 특화단지 방향을 ‘레드바이오’(보건·의료)로 정했다. 바이오 산업은 크게 농·식품, 보건·의료, 화확·에너지 분야로 나뉘는데 기존 주력 산업과 연계한 화이트 바이오(화학·에너지) 분야에 집중하고 있는 울산은 불리할 수밖에 없었다.
레드바이오 분야는 바이오의약품 산업과 오가노이드 재생치료제 산업으로 분류했고, ‘전략산업 및 선도기업을 포함할 것’이라는 필수 조건을 제시했다. 여기에다 세포배양 정도와 기간별 오가노이드 생존율 등 까다로운 기준까지 덧붙였다.
이에 정부가 레드 바이오 산업이 일찌감치 활성화된 수도권에 유리한 기준을 제시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전통 제조업을 중심으로 산업 인프라가 형성된 울산은 미래 신산업 발굴을 위해 바이오 분야를 육성하려고 해도 특화단지 신청 자체를 할 수 없었다.
울산은 화이트바이오 산업 원료인 바이오매스가 풍부하며, 다양한 석유화학 관련 기업이 입주해 있어 화이트바이오 특화단지로서 최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정부의 제도적 뒷받침만 더해진다면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에 큰 힘이 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
울산과 상황이 비슷한 전북의 경우 정부가 특화단지 방향을 ‘레드바이오’로 정한 시점부터 일찌감치 관련 연구용역을 통해 공모를 준비한 점에서 시의 대처가 미흡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그린바이오에 공을 들였던 전북은 특화단지 지정에 불리한 판세를 확인한 뒤, ‘전북형 전주기 레드바이오 산업 발전체계 조성 방안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산업 육성 방안을 모색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해당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선도기업이 있는 지자체만 신청할 수 있도록 정부가 지침을 제시했다”면서 “울산에도 UNIST 내 해당 기술을 가진 업체가 3곳 정도 되는 것으로 파악됐지만, 매출이 전혀 없는 신생업체였다. 울산으로서는 신청을 하고 싶어도 할 수 없었다”고 밝혔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