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핵 공격 사후관리 훈련...응급진료·주민대피 등 진행
상태바
울산시, 핵 공격 사후관리 훈련...응급진료·주민대피 등 진행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4.04.19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18일 울산대공원 남문광장에서 열린 화랑훈련 현장을 방문한 김명수 합동참모의장(오른쪽)이 북한의 핵·대량살상무기(WMD) 공격을 가정한 훈련과정을 둘러보고 있다. 김동수기자 dskim@ksilbo.co.kr
울산시는 18일 제2별관 지하 2층 통합방위종합상황실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공격을 받았을 경우를 가정한 ‘핵·대량살상무기(WMD) 사후관리 훈련’을 실시했다.

이는 2024년 화랑훈련의 일환으로 시, 53사단, 울산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경동가스, 울산대병원 등 18개 유관기관 250여명이 참가했다.

이날 화랑훈련은 ‘핵·WMD 사후 관리 훈련’ 즉, 적이 울산 일대에 핵미사일 공격을 자행하자 군과 지자체가 신속히 주민 대피와 구조에 나선다는 가정으로 진행됐다.

핵 공격을 확인한 울산시 통합방위지원본부는 응급 진료, 주민 대피, 추가 미사일 발사 확인 등 소방, 경찰, 군과 협조하며 즉각 대응에 나섰다. 서생체육관, 울산발전본부, 울산대공원 남문주차장 등 3개 지역에서 실제 훈련도 동시에 진행됐다.

특히 훈련에는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통합방위본부장)과 고창준 제2작전사령관 등이 토의 연습을 참관하고 실제 훈련 현장을 지도·점검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은 화학, 조선 등 주요 시설들이 밀집한 국가 안보의 요충지다. 이런 산업시설이 적의 도발로 피해를 입는다면 국가안보는 물론 국민생활에도 큰 영향을 줄 것”이라며 “이번 훈련을 계기로 핵 공격 대비 능력과 대응 메뉴얼 강화에 힘을 모으자”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도서관 인근 편의점 ‘담배 뚫린곳’ 입소문 일탈 온상
  • 옥교동한마음주택조합 8년만에 해산 논의
  • 울산도시철도 2호선 예타 여부 이번주 결정
  • 김지현 간호사(울산대학교병원), 호스피스 전문자격 취득
  • 컨테이너 이동통로 비계 붕괴, 작업자 2명 2m 아래 추락 부상
  • 필름부터 AI이미지까지 사진 매체의 흐름 조명